[사설] (1일자) 미국경제 향방에 대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라 안팎으로 경기논쟁이 거세다.
아이로니컬하게도 이번 경기논쟁 역시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최근까지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대한 심증을 굳게 했다.
문제는 지난 주말에 발표된 2?4분기 성장률이다.
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은 5.2%로 발표됨에 따라 한동안 누그러질 기미를 보였던 경기논쟁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경기 논쟁은 연준리(FRB)의 통화정책 방향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다.
동시에 미국경제가 세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세계경기 향방과 맞물려 있다.
일단 2·4분기 성장률 5.2%는 잠재성장률인 3.5%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전통적인 경제이론대로라면 GDP 갭에 따른 인플레 압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이란 정책수단이 쉽게 택해진다.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최근 들어 미국경제는 신경제 국면이 확산됨에 따라 물가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연준리도 경기를 파악하기 위해 종전과 다른 잣대를 활용하고 있다.
하나는 GDP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 움직임이다.
다른 하나는 노동시장의 상황이 어떤가를 중시한다.
다행히 2·4분기 성장내역을 들여다 보면 민간소비의 둔화세가 역력하다.
2·4분기 고용비용지수 상승률도 당초 예상수준인 1.0%에 그쳤다.
최근 연준리의 입장대로 미국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분명한 것은 앞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하든,경기과열로 치달아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하든 간에 우리 경제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게 우려된다는 점이다.
미국경제가 연착륙되면 미국의 수입감소폭이 성장둔화폭보다 큰 것이 관례다.
특히 우리는 금년 들어 지난 5월까지 대미 수출증가율이 33%로 미국의 10대 수입국 중 가장 높다.
국내 증시도 동조화 계수가 0.85∼0.9에 이를 만큼 미국 증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미국경제의 영향력을 줄이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다.
여러 대책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단기적으로는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개혁과 구조조정을 통해 남아있는 부실을 털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출구조나 경제구조를 소프트화해야 미국을 비롯한 대외환경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능력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궁극적으로는 우리 경제의 주권(identity)과 안정을 확보하는 길이기도 하다.
아이로니컬하게도 이번 경기논쟁 역시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
최근까지 미국경제는 연착륙에 대한 심증을 굳게 했다.
문제는 지난 주말에 발표된 2?4분기 성장률이다.
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은 5.2%로 발표됨에 따라 한동안 누그러질 기미를 보였던 경기논쟁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경기 논쟁은 연준리(FRB)의 통화정책 방향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다.
동시에 미국경제가 세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세계경기 향방과 맞물려 있다.
일단 2·4분기 성장률 5.2%는 잠재성장률인 3.5%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전통적인 경제이론대로라면 GDP 갭에 따른 인플레 압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이란 정책수단이 쉽게 택해진다.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최근 들어 미국경제는 신경제 국면이 확산됨에 따라 물가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연준리도 경기를 파악하기 위해 종전과 다른 잣대를 활용하고 있다.
하나는 GDP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 움직임이다.
다른 하나는 노동시장의 상황이 어떤가를 중시한다.
다행히 2·4분기 성장내역을 들여다 보면 민간소비의 둔화세가 역력하다.
2·4분기 고용비용지수 상승률도 당초 예상수준인 1.0%에 그쳤다.
최근 연준리의 입장대로 미국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분명한 것은 앞으로 미국경제가 연착륙하든,경기과열로 치달아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하든 간에 우리 경제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게 우려된다는 점이다.
미국경제가 연착륙되면 미국의 수입감소폭이 성장둔화폭보다 큰 것이 관례다.
특히 우리는 금년 들어 지난 5월까지 대미 수출증가율이 33%로 미국의 10대 수입국 중 가장 높다.
국내 증시도 동조화 계수가 0.85∼0.9에 이를 만큼 미국 증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미국경제의 영향력을 줄이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다.
여러 대책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단기적으로는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개혁과 구조조정을 통해 남아있는 부실을 털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출구조나 경제구조를 소프트화해야 미국을 비롯한 대외환경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능력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궁극적으로는 우리 경제의 주권(identity)과 안정을 확보하는 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