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장들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건설의 채권을 만기연장해 주기로 합의한 26일.

은행장 회의가 끝난 뒤 류시열 은행연합회장은 기자에게 섭섭한 마음을 토로했다.

회의소집을 정부가 지시한 게 뻔하지 않느냐는 추궁에 대해 “왜 그리도 의심만 하느냐”는 반응이었다.

전날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이 “시장참가자들이 무책임한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고 금융회사의 이기주의를 질책했기에 그런 의심은 나올 법 했다.

경제장관의 질책에 이은 은행장 회의는 많이 봐왔던 풍경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류 회장은 “자율적으로 모였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과거 기아와 대우그룹 사태때 제일은행장을 했던 경험에 비춰볼때 지금은 무엇보다도 금융시장안정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회의를 소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치금융 논란에 시달리다보니 자발적인 결정도 오해를 받는다”며 허탈해 했다.

회의에 참석한 다른 은행장은 “혼자만 끙끙 앓고 있다가 서로 논의를 하다보니 좋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말했다.

정부가 주도했던 채권형펀드 10조원 조성을 논의할 때처럼 불만을 터뜨린 은행장도 없었다는 후문이다.

정부도 이날 회의에 대해서는 바라만 보고 있을 뿐이었다.

그럼에도 ‘은행 자율’이 싹튼 회의라고 평가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정부당국의 경고성 발언이 없었어도 은행장들이 모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시각에서다.

마침 이날 비슷한 시각에 은행연합회에서는 한국개발연구원 주최로 ‘금융유관기관 기능 활성화’라는 주제의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감독당국의 손에 맡겨진 각종 규제를 각 금융협회가 중심이 돼 자율규제로 바꾸자는 취지였다.

간단한 지침이나 규제는 협회가 자율적으로 하자는 등의 생산적인 얘기도 많았지만 획기적인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았다.

관치에 익숙한 은행장과 이들의 평범한 움직임도 관치의 잣대로 보는 여론.

한국 금융계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 같아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

김준현 경제부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