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로스쿨, 지는 비즈니스스쿨"

미국 경영대학원들에 비상이 걸렸다.

"MBA(경영학석사)=일류직장 보증"이라는 등식을 타고 몰려드는 우수 인재들로 북적거렸던 경영대학원에 지원자들이 급감하고 있기때문이다.

반면 80년대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던 법과대학원의 인기는 빠르게 되살아나고 있다.

신기술의 잇단 출현으로 이와 관련된 법률서비스 수요가 늘어나자 컨설팅회사 등이 비즈니스스쿨출신 대신 로스쿨출신자들을 대거 채용하기 시작한 덕분이다.

5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올 봄학기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지원자가 전년대비 24% 줄어든 것을 비롯, 코넬(23%).스탠포드(18%) 등 주요 대학의 비즈니스스쿨 지원자들이 크게 줄었다.

반면 로스쿨의 경우 올해 미전역에서 7만7천명이 입학을 신청,작년보다 3% 늘어났다.

로스쿨 지원자가 증가한 것은 80년대이후 처음이다.

로스쿨인기가 되살아나고 있는 최근 보스턴컨설팅과 맥킨지와 같은 미국의 간판 컨설팅업체들이 컨설팅요원의 절반을 로스쿨출신들로 채우는 등 법률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커졌기때문이라고 타임스지는 풀이했다.

인기경쟁에서 로스쿨의 맹추격을 받고있는 비즈니스스쿨들은 고육지책으로 입학사정 기준을 완화하는 등 우수인재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코넬.UCLA 등 명문 비즈니스스쿨은 2-3년의 사회생활경험만 있어도(전에는 최소한 4-5년) 지원할 수 있도록 요건을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이학영 특파원 hyrhee@earthlin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