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간부들이 전국을 돌며 의사들을 설득했으나 성과가 없어 30일로 예정된 병.의원의 무기한 집단휴진은 강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병.의원들이 휴진하는 동안 약국들은 일요일과 공휴일에도 문을 열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실국장들이 각 지역을 맡아 지역별 의사협회장 등을 만나 집단휴진을 철회하라고 요청했으나 막지 못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30일부터 전국적으로 벌어질 병.의원들의 집단휴진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환자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의원들이 집단휴진에 들어가면 야간당직 체제와 비슷한 형태로 응급진료만 이뤄지게 된다"며 "문을 여는 곳은 전체 병의원의 10%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의사협회는 "복지부가 의료수가 평균 6% 인상을 내세워 의사들의 요구를 반영했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는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된 의약품실거래가상환제로 인한 손실을 보전해 주는 데 불과한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약사의 임의조제 근절책 마련 <>대체조제 때 의사의 사전동의 <>의약분업후 예상되는 손실보충 재원 확보 등이 선행되지 않으면 의약분업에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병.의원 휴진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한약사회가 병.의원들의 휴진 기간동안 비상체제에 돌입, 모든 약국이 일요일과 공휴일에도 문을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병.의원들에 업무개시 명령을 내려 집단휴진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업무개시 명령에도 불구하고 휴진하는 병.의원에 대해서는 업무정지 등 강력한 조치를 내리겠다고 밝혔다.

< 김도경 기자 infofest@ke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