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학년도 대학 수학능력 시험에서는 독일어 일본어 등 제2 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새로 포함된다.

수리.탐구II에서도 선택과목제와 표준점수제가 적용된다.

이에따라 수험생은 자신있거나 유리한 과목을 선택해 시험을 치를 수 있다.

또 과목별 출제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 시험에 대비해야 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8일 발표한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계획은 제2 외국어를 제외하면 출제범위 난이도 등 기본골격이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따라 지난해 어려웠던 언어영역은 쉽게 출제되는 반면 수리탐구.외국어 영역은 다소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박도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2002년부턴 새로운 수능제도가 도입되는 만큼 올해는 수험생의 혼란이 없도록 지난해와 유사한 방식으로 치르기로 했다"고 말했다.

<>출제 기본방향=여러 교과가 관련되거나 한 교과내의 여러 단원이 관련된 통합교과적 또는 통합영역적 소재를 바탕으로 사고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출제된다.

문항별 예상정답률이 20~80%가 되도록 하고 영역별 평균점수는 상위 50%에 속하는 학생들이 1백점 만점에 75점 정도가 되도록 배분할 계획이다.

지난해 이들 집단의 평균성적은 <>언어 75.4점 <>수리.탐구I 64.8점 <>수리.탐구II 중 과학탐구 인문 84.8점, 자연 87.4점, 사회탐구 인문 84.6점, 자연 87.2점 <>외국어 83점 등이었다.

전체 평균은 77.5점으로 나타났다.

문항당 배점은 동점자를 줄이기 위해 영역별로 1~4점으로 차등화된다.

<>영역별 출제방향 및 비율=언어 외국어 제2외국어는 계열 구분없이 공통으로 출제된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제2외국어 영역은 원하는 수험생만 응시하게 된다.

독일어I, 프랑스어I, 에스파니아어I, 중국어I, 일본어I, 러시아어I 6개 과목에서 하나를 고르면 된다.

발음.철자와 어휘 문법 문화가 각 3개씩 총 12문제가 나온다.

의사소통기능을 알아보는 문제는 18문항이 출제된다.

수리.탐구영역은 75% 정도를 공통 출제하고 25% 가량은 계열별로 구분해 나온다.

계열간 성적편차가 최소화되도록 고려하는 것으로 원칙으로 한다.

수리.탐구II에서는 인문계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 세계사 세계지리 중에서 한 과목을 택하면 된다.

반면 자연계는 물리II 화학II 생물II 지구과학II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예.체능계는 선택이 없다.

수리.탐구II의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배점 비율은 인문.예체능계는 6대4,자연계는 4대6이다.

언어에서 듣기문항이 6개,수리.탐구I은 주관식이 20%,외국어에서 듣기.말하기 문항이 17개 출제되는 것도 지난해와 같다.

제2 외국어는 듣기평가를 하지 않는다.

<>영역별 배점=1교시 언어 60문항 1백20점, 2교시 수리.탐구I 30문항 80점, 3교시 수리.탐구II 80문항 1백20점, 4교시 외국어 50문항 80점 등 총 2백20문항 4백점으로 지난해보다 언어.외국어가 5문항씩 줄었다.

4교시까지 끝난 다음 제2 외국어영역을 선택한 수험생에 한해 5교시에 제2외국어 중 한과목 30문항이 40점 만점으로 치러진다.

<>원서교부.접수 및 통지= 원서교부와 접수기간은 오는 9월1일부터 16일까지이다.

한 달씩 걸렸던 채점기간을 당겨 12월12일 성적표를 각 개인에게 통보한다.

성적통지표에는 계열별.영역별 원점수와 총점,영역별 표준점수와 4백점기준 변환표준점수가 표기된다.

원점수에 의한 백분위점수 및 4백점 기준 변환표준점수에 의한 백분위점수도 알수 있다.

제2 외국어 성적은 총점에 합산하지 않고 수험생에게 불이익을 주지않도록 응시과목명은 표시되지 않는다.

< 김광현 기자 kkh@ked.co.kr >

---------------------------------------------------------------

[ 용어설명]

<>원점수=수험생이 실제로 받은 절대점수를 말한다.

4백점이 만점이다.

<>표준점수=선택과목간 난이도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된 일종의 상대점수.

예컨데 선택과목제인 사회탐구영역에서 세계사가 어렵고 사회문화가 쉬웠다고 치자.

이때 원점수를 전형에 사용할 경우 세계사를 선택한 수험생이 상대적 불이익을 받게 된다.

과학탐구나 제2외국어도 마찬가지.

상대 비교가 불가능한 원점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되는 점수로 미국의 수능시험격인 SAT나 TOEFL 등에서 활용되는 진보된 형태의 점수체계다.

<>변환표준점수= 표준점수를 원점수에 가깝도록 외형상 4백점 체제로 전환한 것이 변환 표준점수이다.

변환표준점수는 원점수와 비교할 경우 표준점수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높아질 수도 있고 오히려 낮아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특히 어려운 과목을 잘하거나 자기와 같은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 집단의 수준이 낮을 때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백분위= 최고점부터 최하점까지 순서대로 배열,개인성적의 상대적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낸 서열 척도.

1백을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자신의 원점수의 백분위가 "99.99"로 표기돼 있다면 계열별 전국 석차가 1만명 중 2등이라는 뜻이다.

원점수 백분위와 표준점수 백분위는 대체로 비슷하나 어느정도 차이가 날 수도 있다.

고교장 추천전형 지원자격을 "변환표준점수의 계열별 석차 상위 10% 이내"로 정해놓은 대학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표준점수 백분위가 "90.00" 이상이 돼야 한다.

< 김광현 기자 kkh@ke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