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증권거래소 시장 살리기"에 나섰다.

최근과 같은 코스닥시장 우위현상이 고착화될 경우 기업자금조달 등에서
심각한 후유증이 있을 것이란 절박감 때문이다.

정부가 거래소시장을 살리기 위해 마련한 방안은 두가지다.

단기적으론 일부 기관투자가 사이에서 성행하고 있는 데이트레이딩
(단타매매)등 투기적 매매에 제동을 걸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코스닥시장에 과도하게 몰리는 자금을 분산시키겠다는 의도다.

중기적으론 현재 마련중인 증권거래소 활성화방안을 조속히 시행한다는
구상이다.

즉 코스닥시장의 성장속도에 맞게 거래소시장을 활성화함으로써 두 시장의
균등 발전을 꾀하겠다는 뜻이다.

<>심해지는 시장차별화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 "코스닥은 메이저리그,
거래소는 마이너리그"라는 말은 이미 익숙해진 상태다.

그만큼 코스닥 편중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코스닥 거래대금은 지난 8일 처음으로 거래소 거래대금을 앞질렀다.

그 뒤 6일 연속 거래소 거래대금을 웃돌고 있다.

지난 14일의 경우 6조4천2백11억원으로 거래소시장의 거래대금보다 2배
가량 많았다.

주가가 동반폭락한 15일도 마찬가지였다.

코스닥 거래대금은 4조9천1백50억원에 달한 반면 거래소 거래대금은
3조1천6백56억원에 그쳤다.

첨단벤처기업 중심의 미국 나스닥시장 거래대금이 뉴욕증권거래소를
추월하기까지는 27년이나 걸렸으나 코스닥시장은 96년 7월 개장이후 불과
3년8개월만에 거래소시장을 앞선 셈이다.

이런 추세는 신규 등록기업들이 많아질수록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관투자가의 투기적 매매 제동 =이처럼 코스닥으로의 자금집중현상이
나타난데는 기관투자가들의 투기적 매매도 한 몫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시장의 안정성을 염두에 둬야할 기관들마저 코스닥시장에 참여, 경쟁적으로
데이트레이딩에 나서다보니 이상 거품이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김영재 금융감독위원회 대변인은 "기관투자가들이 투기적 매매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는 이를 중점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해 이같은
시각을 분명히 했다.

이는 과도한 데이트레이딩에 대해서는 "제동"을 걸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기관들도 엄연한 투자자인 만큼 투자전략까지 간여할 수는 없지만 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게 정부의 시각이다.

<>증권거래소 시장 조기 활성화 =기관들의 데이트레이딩 제동은 단기적
대책에 불과하다.

본질적으론 거래소시장에 투자유인동기를 만들어줘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증권거래소 활성화방안을 당초 예정보다 앞당겨 시행키로
했다.

내용은 물론 이미 발표됐던 것이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론 <>상장기준 완화 <>회원비용 경감 <>거래 수수료 인하 등이다.

지나치게 엄격한 상장규정을 완화함으로써 경쟁력있는 기업들의 거래소
상장을 유도하면 투자도 활성화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특히 해외기업의 원주나 DR(주식예탁증서)의 국내시장 상장이 본격화되면
거래소시장의 경쟁력은 상당히 강화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거래소 회원이 될수 있는 장벽을 완화하고 거래수수료를 내려
증권거래소 자체를 국제경쟁력있는 기관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실제 증권거래소의 회원권은 정회원의 경우 약 1백25억원에 달해 뉴욕
거래소의 25만~35만달러(2억7천만원~3억8천만원)에 비해 훨씬 비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증권거래소는 현재 상장제도 및 기준을 전면 개편하기 위해 증권연구원에
용역을 준 상태다.

3월말까지 구체안을 마련하기로 했으나 조기활성화를 위해 이 가운데 먼저
시행이 가능한 것을 분류, 시행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

< 하영춘 기자 hayoung@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