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코리아 2000] 제1부 : (5) '최고 연구단지 성공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RTP)가 최고의 연구단지로 꼽힐 정도로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RTP발전의 원동력은 우수한 기술인력과 시설을 갖춘 3개 대학이지만 그
동력에 힘을 불어넣은 것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정부였다는데 이론을 다는
사람은 별로 없다.
50년대 중반 이 지역의 지식인들이 연구단지 개념을 생각했을때부터 주
정부는 대학 재계인사로 구성된 리서치 트라이앵글 위원회에 참여해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주정부는 지난 59년 RTP가 출범하자 기업의 유치를 촉진하기위해 입주기업에
대한 세금을 과감하게 포기했다.
기업이 이곳에서 활동하면서 일자리를 만들어내게되면 소득세 등을 통해
보전할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또 주 정부는 직접 다른 주에 있는 회사들을 상대로 설득작업을 벌여 RTP에
유치하기도했다.
바이오젠같은 회사들은 주 정부가 끌어온 경우다.
80년대 들어 주 정부가 설립한 노스캐롤라이나 전자공학센터(MCNC)와
바이오센터는 산학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주 정부가 국민의 세금을 쏟아부어 두 연구센터를 설립한 것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자는 것이었다.
주 정부는 그 방법을 기업과 대학의 연구프로젝트 활성화에서 찾았다.
지난 80년에 설립된 MCNC는 RTP주변에 있는 정부 회사 대학 등을 대상으로
정보기술 등을 서비스하고 각종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이곳에 있는 슈퍼컴퓨터센터는 지역의 대학 기업들이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장으로 산학협력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있다.
현재는 운영권이 민간으로 이양돼있다.
바이오센터는 연구소가 아니라 연구기금을 갖고 RTP내에 있는 기업과
대학에게 연구프로젝트를 제공해주는 곳이다.
바이오센터의 경우 1년에 연구기금으로 사용하는 액수는 약 1천2백만달러
정도.
이 돈의 95%는 주 정부에서 나온다.
바이오센터를 통해 연구과제를 받아서 창업에 성공한 기업들도 많다.
바이오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중 특이한 것은 "커뮤니티 컬리지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일자리가 없는 사람 또는 농장에서 막일을 하는 근로자 등을
단기간에 교육시켜 바이오분야나 전자회사에서 근무할수 있도록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주 정부는 현재 모두 6개의 커뮤니티컬리지(교육기관)을 운영하고있다.
6개의 교육기관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사는 사람은 누구든지 1시간이내에
도착할수 있는 거리에 있다.
바이오센터의 로빈 디클 홍보위원은 "RTP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있다"며 "정부의 지원이 없었다면 RTP가 자랑하는
산학협동연구의 활성화나 대학의 수준향상은 기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 김태완 기자 twkim@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7일자 ).
이유는 무엇일까.
RTP발전의 원동력은 우수한 기술인력과 시설을 갖춘 3개 대학이지만 그
동력에 힘을 불어넣은 것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정부였다는데 이론을 다는
사람은 별로 없다.
50년대 중반 이 지역의 지식인들이 연구단지 개념을 생각했을때부터 주
정부는 대학 재계인사로 구성된 리서치 트라이앵글 위원회에 참여해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주정부는 지난 59년 RTP가 출범하자 기업의 유치를 촉진하기위해 입주기업에
대한 세금을 과감하게 포기했다.
기업이 이곳에서 활동하면서 일자리를 만들어내게되면 소득세 등을 통해
보전할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또 주 정부는 직접 다른 주에 있는 회사들을 상대로 설득작업을 벌여 RTP에
유치하기도했다.
바이오젠같은 회사들은 주 정부가 끌어온 경우다.
80년대 들어 주 정부가 설립한 노스캐롤라이나 전자공학센터(MCNC)와
바이오센터는 산학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주 정부가 국민의 세금을 쏟아부어 두 연구센터를 설립한 것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자는 것이었다.
주 정부는 그 방법을 기업과 대학의 연구프로젝트 활성화에서 찾았다.
지난 80년에 설립된 MCNC는 RTP주변에 있는 정부 회사 대학 등을 대상으로
정보기술 등을 서비스하고 각종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이곳에 있는 슈퍼컴퓨터센터는 지역의 대학 기업들이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장으로 산학협력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있다.
현재는 운영권이 민간으로 이양돼있다.
바이오센터는 연구소가 아니라 연구기금을 갖고 RTP내에 있는 기업과
대학에게 연구프로젝트를 제공해주는 곳이다.
바이오센터의 경우 1년에 연구기금으로 사용하는 액수는 약 1천2백만달러
정도.
이 돈의 95%는 주 정부에서 나온다.
바이오센터를 통해 연구과제를 받아서 창업에 성공한 기업들도 많다.
바이오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중 특이한 것은 "커뮤니티 컬리지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일자리가 없는 사람 또는 농장에서 막일을 하는 근로자 등을
단기간에 교육시켜 바이오분야나 전자회사에서 근무할수 있도록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주 정부는 현재 모두 6개의 커뮤니티컬리지(교육기관)을 운영하고있다.
6개의 교육기관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사는 사람은 누구든지 1시간이내에
도착할수 있는 거리에 있다.
바이오센터의 로빈 디클 홍보위원은 "RTP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있다"며 "정부의 지원이 없었다면 RTP가 자랑하는
산학협동연구의 활성화나 대학의 수준향상은 기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 김태완 기자 twkim@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