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연구팀이 시험관에서 세계최초로 눈과 귀등 감각기관의 세포덩어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이에따라 생물발생과정에서 최후로 형성되는 감각기관의 세포까지도
인공적으로 생성시킬수 있는 길이 열렸다.

감각기관의 세포생성은 시험관내 세포분화연구의 최후영역으로 남아있었다.

도쿄대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의 아사지마 교수(발생생물학)와 과학기술진흥
사업단의 사카리야, 아리이즈미연구원팀은 아프리카 개구리의 배로부터
추출한 미분화 세포에 생리활성물질인 콘카나바린A와 레티노인산의 혼합용액
을 투입, 5일간 배양시킨 끝에 눈과 귀의 원기(조직의 기본이 되는 세포
덩어리)를 생성시켰다고 마이니치신문이 3일 보도했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레티노인산의 농도를 묽게했을 경우에는 미분화세포
가 눈으로, 농도를 진하게 했을 경우에는 귀로 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않았을 경우에는 뇌의 일부나 코로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의 실험으로 만들어낸 눈의 원기의 단면을 조사한 결과 수정체나
망막 등의 조직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개구리의 미분화세포덩어리로부터 심장 신장 간장 근육 등을
만들어 내는데는 성공했다.

그러나 생물발생과정에서 최후로 형성되는 섬세한 조직인 감각기관의 경우
시험관내에서 단독으로 생성시키지 못했다.

아사지마 교수팀은 신경으로의 세포분화를 유도하는 물질로 콘카나바린A를
사용, 감각기관의 세포덩어리를 만들어내는 개가를 올렸다.

콘카나바린A는 작투콩에서 나오는 물질로 지금까지 생물실험에 이용된
사례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세포분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성과로 활성물질의 조합만으로도 거의 모든장기와 조직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낼수 있음이 증명됐다.

따라서 체외에서 만들어진 장기나 조직을 인체에 이식하는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 도쿄=김경식 특파원.kimks@dc4.so-net.ne.jp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