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컴퓨터 2000년 연도인식 오류) 문제에 대한 대비작업이 사실상 마무리
됐다.

정부도 금융 전력 통신 등 주요 분야에 대한 대응이 1백% 완료돼 Y2K문제로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미리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고 충고한다.

주요 분야별 대응 요령을 알아본다.

-----------------------------------------------------------------------

<>연말연시에 꼭 필요한 정도의 현금만 인출한다.

오는 12월 31일부터 2000년 1월 3일까지 4일간의 금융휴무일중 신용카드를
제외한 금융서비스가 정지되므로 미리 필요한 정도만큼 현금을 인출해 갖고
있는 것이 좋다.

<>12월말에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는 Y2K 문제 해결여부를 확인한다.

정부는 연말까지 Y2K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기기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중지명령를 내릴 계획이지만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해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 당뇨병이나 고혈압 천식 등 처방전을 받아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담당의사에게 추가로 처방을 요구해 충분한 약을 확보해두는 것이
편하다.

<>영.유아와 노약자를 위해 세심한 준비를 한다.

Y2K문제 발생 시기가 한겨울철인 만큼 영.유아 산모 환자 장애인 노약자를
위한 난방과 급식 등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는 것이 현명하다.

Y2K문제가 관계없이 상비약 담요 라디오 손전등 양초 건전지 휴대용
취사도구와 최소한의 식량 등을 준비해 두는 것도 생활의 지혜다.

<>해외여행 계획시 방문하는 곳의 Y2K 문제를 염두에 둔다.

구소련과 동유럽 서남아시아 남미 등의 일부 국가는 Y2K문제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연말연시에 이들 국가 여행을 삼가는 것이 요령이다.

해외출장과 여행을 꼭 갈 경우에는 여행사와 항공사 등을 통해 해당국의
Y2K문제 해결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현지 일정과 연락처는 친지에게 미리 알리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방문국의
한국대사관이나 영사관 전화번호와 주소를 알아두는 것이 현명하다.

<>아파트 등 대형건축물에 설치된 각종 자동화설비의 Y2K 문제 해결여부를
확인한다.

아파트와 대형건물 등에 설치돼 있는 난방설비 화재수신반 방범설비 등
자동화설비의 일부 기종에서는 Y2K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설비공급업체와 유지보수업체에 해결 여부를 문의.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사람은 한국전산원이나 대한주택공사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C의 Y2K 문제를 다시 한번 점검한다.

날짜 정보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Y2K문제로 시스템이
정지하거나 틀린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점검해야 한다.

중요한 자료는 따로 디스켓에 저장하고 부팅용 디스켓을 준비하는 것도
요령이다.

<>Y2K 문제에 편승한 컴퓨터 바이러스를 조심한다.

Y2K문제 자체보다 오히려 Y2K 문제에 편승한 바이러스가 더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반드시 정품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을 사용, 주기적으로 감염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가정용 전자제품중 날짜표시기능이 있는 제품은 2000년이 제대로
표시되는 지 확인한다.

가전제품 가운데 캠코더와 VCR 팩스밀리 카메라 등의 일부 기종은 날짜표시
기능이 오작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나 판매업체에 문의해야 한다.

특히 화재경보기와 자동잠금장치 방범시스템 등 가정용 보안설비도 오작동될
우려가 있는 만큼 점검과 확인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컴퓨터 및 각종자동화설비의 Y2K 문제를 다시 한번 점검한다.

생산.영업활동에 핵심이 되는 컴퓨터시스템과 자동화설비의 Y2K문제는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관련 정보와 지원은 중소기업청 홈페이지( smba.go.kr/y 2000)나 지역별
중소기업진흥공단을 이용하면 된다.

<>Y2K 문제를 빙자한 각종 사기행위에 주의한다.

모르는 사람이 전화 또는 방문을 통해 Y2K문제를 해결 등을 빙자해 통장이나
신용카드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물어오는 경우 절대로 응해서는 안된다.

또 2000년 연도전환 시점에 전산망 해킹 시도가 빈발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각 기관및 기업체 전산보안담당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문희수 기자 mhs@ked.co.kr >

[[ Y2K 문제 10대 점검사항 ]]

1.현금은 필요한 만큼만 인출
2.병원 Y2K문제해결 확인
3.영.유아 노약자 배려
4.여행국문제해결 확인
5.아파트 자동화설비 점검
6.PC Y2K문제 점검
7.Y2K 바이러스 대비
8.가전제품 Y2K 점검
9.중소기업은 재점검.확인
10.Y2K관련 사기 주의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