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 다시 짜자] 제4부 : (10) '영국 핵심자원은 지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국의 국가발전전략은 지난해 12월부터 잇달아 발표되고 있는 국가발전
전략 백서들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작년말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내놓은 10개년 국가발전전략 백서는 영국의
미래경쟁력을 지식기반경제에서 찾고 있다.
이 백서에서 영국 정부는 영국의 핵심역량이 "지식" "기술" "창의력"에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집중하고 있다.
영국이 "지식"을 국가발전의 핵심자원으로 내세우는 건 두가지 배경에서다.
하나는 외부환경변화고 두번째는 자신의 경쟁우위를 다지자는 것이다.
글로벌화와 전자통신의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세계경제는 지식경제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자연자원이 아니라 사람과 기업이 가진 지식이 미래경쟁력을 좌우한다는
것이 명백해진 것이다.
또 지식이라면 영국이 경쟁우위가 있다는 것이 영국의 진단이다.
우선 80년대 금융위기를 겪은 뒤 국영기업 제조업 가리지 않고 모두 외국
투자가에게 팔아넘긴 영국으로서는 "머리"를 쓰는 장사에 매달릴 수 밖에
없게 됐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지식관련산업이 경제의 기본틀이 됐다.
금융이 대표적이다.
세계 최대의 외환시장인 런던금융가 시티(City of London)는 종사인원이
고용인구의 7%에 불과하지만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이 23%에 이른다.
여기에는 금융기관 자체의 생산액과 법률 회계 전산 채용 등 시티주변에서
먹고사는 부대산업의 생산이 모두 포함된다.
금융과 이들 부대산업은 컴퓨터와 사람만 가지고 하는 전형적인 지식산업
이다.
이어서 교육 영어 관광 등 축적된 지식을 팔고 살아가는 산업이 국내총생산
에 17%를 기여한다.
GDP의 절반가량을 머리와 입으로만 벌어들이고 있는 셈이다.
이래서 영국은 지식을 새 밀레니엄 국가전략을 짜는데 필요한 제1의 핵심
역량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국은 순수과학과 기초기술분야에서도 세계적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유전자복합기술인 복제양을 처음으로 만든 것도 영국이고 인터넷 대중화를
가능케한 월드 와이드 웹(www) 기술도 영국사람들이 창조했다.
문제는 이런 과학 기술을 상업화하는데는 뒤쳐진다는 점이다.
영국은 아직도 전통적 귀족이 있는 나라고 옥스브리지(옥스포드대학과
캠브리지대학의 합성어) 출신의 엘리트가 정관계를 지배하는 나라여서
기업인을 대개 무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토니블레어 수상은 최근 영국상공회의소 연차총회에서 이런 사회분위기를
바꾸지 않고는 날로 치열해지는 국제경쟁에서 영국이 살아남기 어렵다며
벤처기업육성에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순수과학과 기초기술의 우수성을 경쟁력있는 자원으로 보고 이를 경제적
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벤처기업 펀드를 만들고 1년에 1만명의 벤처기업가를 새로 탄생시키는
작업에 돌입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또 어려움에 처한 기업이 조기에 회생할 수 있도록 파산관련 법률을 고치고
사업실패로 신용불량이 된 사람을 구제하는 방안도 만들고 있다.
영국이 자랑하는 마지막 자원은 "창의성"이다.
이는 교육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영국에는 4지 선다형시험이 없다.
초등학교부터 모든 시험과 과제물이 다 에세이다.
자기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도록 하는게 교육이지 정답을 집어내도록
가르키는게 교육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이런 전통은 박사과정까지도 이어진다.
영국대학의 박사과정은 4년 또는 5년내내 한 주제를 놓고 연구만 하고 이
연구논문이 박사논문이 된다.
문과나 이과나 다 마찬가지다.
이러다보니 다른 사람이 전혀 생각하지 못한 기발한 것들을 착안해 낸다.
복제양도 그렇고 월드 와이드 웹도 다 창의성 교육의 결과물이다.
끝으로 이같은 전략들을 발현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강조하는게 새로운
정부-기업관계다.
이제는 정부와 업계가 규제당국과 피규제 대상으로 남는게 아니고 기업의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는 파트너쉽으로 묶여져야 한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부내에 기업가정신을 도입하고 시장친화적인 규제정책을 마련
하는데 몰두하고 있는게 요즘 다우닝가의 풍경이다.
< 런던=안상욱 기자 sahn@lbs.ac.u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4일자 ).
전략 백서들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작년말 영국 통상산업부(DTI)가 내놓은 10개년 국가발전전략 백서는 영국의
미래경쟁력을 지식기반경제에서 찾고 있다.
이 백서에서 영국 정부는 영국의 핵심역량이 "지식" "기술" "창의력"에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집중하고 있다.
영국이 "지식"을 국가발전의 핵심자원으로 내세우는 건 두가지 배경에서다.
하나는 외부환경변화고 두번째는 자신의 경쟁우위를 다지자는 것이다.
글로벌화와 전자통신의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세계경제는 지식경제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자연자원이 아니라 사람과 기업이 가진 지식이 미래경쟁력을 좌우한다는
것이 명백해진 것이다.
또 지식이라면 영국이 경쟁우위가 있다는 것이 영국의 진단이다.
우선 80년대 금융위기를 겪은 뒤 국영기업 제조업 가리지 않고 모두 외국
투자가에게 팔아넘긴 영국으로서는 "머리"를 쓰는 장사에 매달릴 수 밖에
없게 됐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지식관련산업이 경제의 기본틀이 됐다.
금융이 대표적이다.
세계 최대의 외환시장인 런던금융가 시티(City of London)는 종사인원이
고용인구의 7%에 불과하지만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이 23%에 이른다.
여기에는 금융기관 자체의 생산액과 법률 회계 전산 채용 등 시티주변에서
먹고사는 부대산업의 생산이 모두 포함된다.
금융과 이들 부대산업은 컴퓨터와 사람만 가지고 하는 전형적인 지식산업
이다.
이어서 교육 영어 관광 등 축적된 지식을 팔고 살아가는 산업이 국내총생산
에 17%를 기여한다.
GDP의 절반가량을 머리와 입으로만 벌어들이고 있는 셈이다.
이래서 영국은 지식을 새 밀레니엄 국가전략을 짜는데 필요한 제1의 핵심
역량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국은 순수과학과 기초기술분야에서도 세계적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유전자복합기술인 복제양을 처음으로 만든 것도 영국이고 인터넷 대중화를
가능케한 월드 와이드 웹(www) 기술도 영국사람들이 창조했다.
문제는 이런 과학 기술을 상업화하는데는 뒤쳐진다는 점이다.
영국은 아직도 전통적 귀족이 있는 나라고 옥스브리지(옥스포드대학과
캠브리지대학의 합성어) 출신의 엘리트가 정관계를 지배하는 나라여서
기업인을 대개 무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토니블레어 수상은 최근 영국상공회의소 연차총회에서 이런 사회분위기를
바꾸지 않고는 날로 치열해지는 국제경쟁에서 영국이 살아남기 어렵다며
벤처기업육성에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순수과학과 기초기술의 우수성을 경쟁력있는 자원으로 보고 이를 경제적
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벤처기업 펀드를 만들고 1년에 1만명의 벤처기업가를 새로 탄생시키는
작업에 돌입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또 어려움에 처한 기업이 조기에 회생할 수 있도록 파산관련 법률을 고치고
사업실패로 신용불량이 된 사람을 구제하는 방안도 만들고 있다.
영국이 자랑하는 마지막 자원은 "창의성"이다.
이는 교육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영국에는 4지 선다형시험이 없다.
초등학교부터 모든 시험과 과제물이 다 에세이다.
자기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도록 하는게 교육이지 정답을 집어내도록
가르키는게 교육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이런 전통은 박사과정까지도 이어진다.
영국대학의 박사과정은 4년 또는 5년내내 한 주제를 놓고 연구만 하고 이
연구논문이 박사논문이 된다.
문과나 이과나 다 마찬가지다.
이러다보니 다른 사람이 전혀 생각하지 못한 기발한 것들을 착안해 낸다.
복제양도 그렇고 월드 와이드 웹도 다 창의성 교육의 결과물이다.
끝으로 이같은 전략들을 발현하기 위해 영국 정부가 강조하는게 새로운
정부-기업관계다.
이제는 정부와 업계가 규제당국과 피규제 대상으로 남는게 아니고 기업의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는 파트너쉽으로 묶여져야 한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부내에 기업가정신을 도입하고 시장친화적인 규제정책을 마련
하는데 몰두하고 있는게 요즘 다우닝가의 풍경이다.
< 런던=안상욱 기자 sahn@lbs.ac.u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