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계열사에 대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시간에 쫓겨 졸속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지적이 채권단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해외사업장이 많은 대우전자와 (주)대우, 워크아웃 주관은행이 바뀐
대우자동차의 실사작업이 부진해 나중에 ''숨겨진 부채''가 쏟아져 나올 가능성
이 크다는게 금융계의 주장이다.

ADVERTISEMENT

대우 채권단 관계자는 "정부가 다음달 초까지 워크아웃계획을 확정할 예정
이나 제대로 하려면 실사기간을 연장하고 인원을 보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우전자 워크아웃을 진행하고 있는 한빛은행 관계자는 "오는 15일까지
자산부채 실사를 끝내기로 했으나 회사내용이 워낙 복잡해 실사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외 70여개 사업장에 대해서는 외국회계법인인 딜로이트
투시토머스에 실사를 의뢰, 지난 11일부터 실사를 시작했다"며 "15일까지
나오는 보고서는 해외 현장조사를 거치지 않고 회계장부만 검토한 중간
보고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대우전자 채권단은 오는 19일 예정된 채권금융기관 협의회에서 정확한
자산부채 실사보고서가 아닌 중간보고서를 토대로 워크아웃 계획을 짜야
하는 처지다.

이 때문에 채권단은 워크아웃 계획을 짤때 "추가부실이 나중에 드러날 경우
각 채권금융기관들이 이를 분담한다"는 단서조항을 삽입하기로 했다.

대우자동차는 워크아웃이 진행되면서 전담은행이 서울은행에서 산업은행
으로 바뀌었다.

ADVERTISEMENT

또 대우자동차측의 자료협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실사작업은 지난주
에야 시작됐다.

채권단 관계자는 "실사를 맡은 회계사들이 대우자동차 회계장부와 자산부채
내역을 일일이 대조하면서 조사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알려왔다"며 "회사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한참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외 생산현장과 국내외 판매실적, 채권채무관계 등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10월까지 실사를 끝내야 하는데 결과가 부실하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ADVERTISEMENT

(주)대우의 경우 부채가 22조원에 이르는데다 그룹의 모회사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채권채무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한달동안의 실사로는 (주)대우의 전모를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채권단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주)대우의 손실분담액은 현재로서는 예상하기조차
어렵다"며 "11월6일까지 제대로 된 워크아웃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물리적
으로 불가능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우중공업의 경우에는 지난 8월부터 실사에 들어간데다 사업장 수가 적어
10월말까지 워크아웃 계획을 짤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우통신 대우전자부품 오리온전기 경남기업 등도 기업규모가 작고 부채도
많지 않아 큰 어려움은 없는 편이다.

그러나 주력계열사인 (주)대우와 대우자동차 대우전자에 대한 실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워크아웃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채권단 일부에서는 대우 워크아웃 계획을 수립하고 대우채권의 손실금액을
확정짓더라도 실사결과가 부실한 것으로 판명될 경우 금융시장 불안이
오히려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 현승윤 기자 hyunsy@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