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 문제 해결은 우리가 보증한다"

Y2K 인증기관들은 기업의 Y2K 진행상황을 인증해 주고 대외적으로 합격
판정을 내려 주는 기관이다.

Y2K 문제와 관련된 기업의 대외신인도 제고에 기여하고 국내 Y2K 문제의
조기해결을 촉진하기 위해 출범했다.

현재 국내 Y2K 인증기관은 정보통신진흥협회 산하 한국Y2K인증센터,
능률협회의 Y2K인증센터,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 등 6개 기관에 이른다.

이들 기관들이 운영하는 인증제도는 "인증(Certification) 심사"와 "확인
(Verification) 심사"로 뉘어진다.

인증심사는 기업이 정보시스템 또는 비정보시스템의 Y2K 문제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고 검증을 했다는 것을 인정해 주는 것이다.

확인심사는 Y2K 문제해결이 적절한 절차에 따라 이뤄졌다는 것을 평가해
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인증은 Y2K 문제를 해결한 이후에 신청할 수 있으며 확인은 변환
단계 이상의 해결과정중인 상태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인증범위는 기관전체 사업장 공장 등의 사업단위이며 대상은 정보시스템
(IT), 비정보시스템(Non IT), 종합(IT & Non IT) 등이다.

먼저 기업이 Y2K 인증.확인 심사를 신청하면 인증센터는 심사일정, 심사팀
구성 등을 기업과 협의해 약정을 체결한다.

그리고 심사일정에 따라 인식 영향평가 변환 검증 시험운영 프로젝트 관리
등 Y2K 문제해결 단계에 대한 문서심사 및 사실심사를 수행한다.

심사가 끝나면 그 결과를 인증위원회에 상정해 심의.의결한 후 인증서와
인증패 등을 수여하게 된다.

또 인증센터는 인증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센터가 지정하는
심사지정기관의 인증심사원과 개인 인증심사원을 풀(Pool)로 운영한다.

정보통신진흥협회 산하 Y2K인증센터의 경우 인증에 대한 국제적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ITAA 등 인증관련 단체와 상호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8월말 현재 국내 3대 인증센터를 통해 Y2K 인증을 받은 기업은
2백27개사에 달한다.

이중 한국Y2K인증센터가 1백39개 기업, 능률협회가 53개, 정보통신기술사
협회가 35개사에 인증을 해줬다.

< 김태완 기자 tw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