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계획의 핵심인 과학기술분야 대학원육성사업 신청서를 마감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이 참여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청서를 낸 83개 대학은 25개 국립대 전체와 사립대 58개 등으로 참여
교수만도 5천4백8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박사과정이 설치된 대학이 92개대, 전체 교수가 4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예상보다 많은 대학과 교수가 이 계획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 과학기술분야 대학원육성 =정보기술 의생명 농생명 생물 기계 재료 화공
물리 화학 등 9개 분야별로 우수한 대학원을 뽑아 집중 지원하는 분야다.

22개 대학에서 44개 사업단을 만들어 신청했다.

분야별로 2,3개 사업단을 선정,연간 9백억원을 지원한다.

예상대로 서울대 연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등이 대부분
사업분야에 신청했다.

<> 지역대학육성 =연간 5백억원이 지원되는 이 사업에는 49개 대학이 신청
했다.

지역별로 1개 대학이 뽑힌다.

충북(충북대.정보기술), 전북(전북대.정보기술), 제주(제주대.해양수산)
지역의 경우 각각 1개 대학만 신청서를 내 다른 대학과의 경쟁없이 예산을
지원받는다.

<> 특화분야 =대학별로 경쟁력있는 분야를 골라 집중 육성하는 특화분야
에는 4백95억원이 지원된다.

전문대학원제도 도입을 조건으로 예산을 나눠 주는 이 분야에는 29개 대학이
신청했다.

이중 10개 대학 정도가 선정될 예정이다.

<> 학사제도 개선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입시제도 개선, 학부정원감축,
산업체 대응투자자금(매칭펀드) 확보 등 전제조건을 이행하겠다는 계획서를
내야 한다.

입학제도 개선안은 고교장 추천제 등 무시험전형이 주류를 이뤘다.

모든 대학이 학부정원 30% 감축(특화분야는 15%) 조건도 지키겠다고 약속
했다.

<> 문제점 =일부 대학 교수들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어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원대상에서 탈락할 경우 선정과정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 시비가
불거질 여지도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다른 대학과 컨소시엄을 만들어 신청서를 제출, "나눠먹기"
식으로 변질됐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7년간 해마다 2천억원씩 총 1조4천억원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 이건호 기자 leekh@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