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투자포인트] 펀드의 종류 : 상품선택 잘하면 절반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펀드상품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주식형수익증권" "뮤추얼펀드" "단위형펀드" "추가형펀드" "성장형펀드"
"안정형펀드" "전환형펀드" "스폿펀드" "인덱스펀드" "코스닥펀드"...
이 가운데 어떤 상품을 골라야 만족할 만한 수익을 올릴수 있을까.
수익률 1백%를 넘는 펀드가 잇달아 등장하면서 모든 펀드는 다 그 정도의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다.
하지만 펀드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간접투자시 어떤 상품을 고르느냐 하는 문제는 직접 주식투자를 할 때
종목을 선택하는 것 만큼 중요하다.
올바른 상품의 선택은 간접투자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첫 단추를 꿰는
작업이다.
간접투자상품의 종류와 그 특징을 알아본다.
<> 안정형펀드와 성장형 펀드 =펀드의 주식편입비율에 따른 구분이다.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으면 성장형, 낮으면 안정형이다.
펀드의 주식편입비율이 70%를 넘으면 성장형, 30%이하는 안정형, 그 중간은
안정성장형으로 구분된다.
성장형은 주가가 오를 때 안정형보다 수익률이 높다.
반면 주가가 떨어질 때는 안정형이 유리하다.
주가 상승기에는 위험성은 다소 있더라도 성장형이 유리하다.
<> 단위형과 추가형 =펀드의 모집방식에 따른 구분이다.
단위형은 펀드를 한번 설정한 뒤 만기까지 추가자금을 받지 않는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뮤추얼펀드가 모두 단위형이다.
모집기간에만 투자할 수 있다.
추가형은 펀드가 설정돼 운용되는 중에도 고객들이 원하면 돈을 추가로
받는 주식형수익증권을 말한다.
단위형은 펀드규모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펀드매니저가 안정적으로
펀드를 운용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고객입장에서도 새 돈이 들어옴으로써 수익률이 희석화(물타기)될 염려도
없다.
새로 펀드에 가입하려는 사람 입장에서는 추가형펀드가 유리하다.
<> 인덱스펀드 =펀드 수익률이 종합주가지수(인덱스) 수익률을 따라가도록
설계된 펀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종합주가지수 상승률 만큼만 먹겠다는 것.
반대로 주가가 떨어지면 그만큼 손실을 보겠다고 각오한다.
종합주가지수를 산정할 때 영향력이 큰 대형주 30~50개 정도를 편입해
운용한다.
그러나 인덱스펀드라고 해서 반드시 종합주가지수 만큼의 수익률을 내는
것은 아니다.
종합주가지수를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수 있도록 종목을 구성하느냐에 그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
뮤추얼펀드중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코스파이더", 주식형수익증권에는
한국투자신탁의 "인덱스헤지펀드", 대한투자신탁의 "인덱스 플러스펀드",
현대투자신탁증권의 "바이코리아인덱스펀드" 등이 대표적인 상품이다.
<> 전환형펀드 =주식형펀드에서 일정한 수익률을 달성하면 자동적으로
채권형펀드로 전환되는 펀드다.
일명 "카멜레온펀드"로 불린다.
주식형펀드로 운용하다가 20~30% 정도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펀드에
편입된 주식을 모두 처분하고 만기까지 채권 CP(기업어음) 등으로 굴린다.
이 경우 주식형펀드에서 얻은 확정수익률에다 "+알파(채권투자로 생기는
이자)"가 만기까지 보장되는 셈이다.
채권형으로 전환한 뒤에도 주가가 계속 오르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는
셈이지만 주가하락시 이미 벌어놓은 수익률을 까먹을 가능성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다.
현대투신운용의 "바이코리아 골든벨"의 경우 투자기간이 1년이상이지만
펀드별로 15%, 20%, 30%의 수익률을 달성하면 채권형으로 바뀐다.
삼성투자신탁증권에서 판매하는 "인베스티움 사파이어 전환형" 펀드는
30%를 달성하면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이밖에 대한투신의 "선앤문", 상은투신운용의 "한빛컨버터블", 조흥투신의
"체인지업" 등도 10~30%의 수익률을 넘어서면 안전한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 스폿펀드(spot fund) =주가 급등기엔 가장 인기를 끄는 상품이다.
일정한 수익률(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만기에 관계없이 투자자들에게
원금에다 투자수익을 얹어 되돌려 주기 때문이다.
"즉석의" "현장의"란 뜻의 spot이란 말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
목표수익률은 주로 10~12%선이다.
주가 급상승기에는 1주일만에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기도 한다.
펀드규모는 일반펀드에 비해 작다.
운용의 편리성을 위해서다.
주로 50억~2백억원 규모다.
그러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면 만기까지 돈을 찾을 수 없다.
종전에는 만기가 1년이었지만 요즘엔 3~6개월로 줄었다.
<> 코스닥펀드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기업의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대한투신의 "코스닥주식투자신탁", 현대투신운용의 "바이코리아코스닥펀드"
등이 대표적인 상품이다.
코스닥펀드는 일반 펀드와 다르게 펀드 자산의 90%까지 코스닥등록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지난 4,5월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으로 코스닥등록 주가가 활황세를
보이면서 등장한 틈새상품이다.
< 장진모 기자 j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5일자 ).
"주식형수익증권" "뮤추얼펀드" "단위형펀드" "추가형펀드" "성장형펀드"
"안정형펀드" "전환형펀드" "스폿펀드" "인덱스펀드" "코스닥펀드"...
이 가운데 어떤 상품을 골라야 만족할 만한 수익을 올릴수 있을까.
수익률 1백%를 넘는 펀드가 잇달아 등장하면서 모든 펀드는 다 그 정도의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다.
하지만 펀드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다.
간접투자시 어떤 상품을 고르느냐 하는 문제는 직접 주식투자를 할 때
종목을 선택하는 것 만큼 중요하다.
올바른 상품의 선택은 간접투자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첫 단추를 꿰는
작업이다.
간접투자상품의 종류와 그 특징을 알아본다.
<> 안정형펀드와 성장형 펀드 =펀드의 주식편입비율에 따른 구분이다.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으면 성장형, 낮으면 안정형이다.
펀드의 주식편입비율이 70%를 넘으면 성장형, 30%이하는 안정형, 그 중간은
안정성장형으로 구분된다.
성장형은 주가가 오를 때 안정형보다 수익률이 높다.
반면 주가가 떨어질 때는 안정형이 유리하다.
주가 상승기에는 위험성은 다소 있더라도 성장형이 유리하다.
<> 단위형과 추가형 =펀드의 모집방식에 따른 구분이다.
단위형은 펀드를 한번 설정한 뒤 만기까지 추가자금을 받지 않는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뮤추얼펀드가 모두 단위형이다.
모집기간에만 투자할 수 있다.
추가형은 펀드가 설정돼 운용되는 중에도 고객들이 원하면 돈을 추가로
받는 주식형수익증권을 말한다.
단위형은 펀드규모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펀드매니저가 안정적으로
펀드를 운용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고객입장에서도 새 돈이 들어옴으로써 수익률이 희석화(물타기)될 염려도
없다.
새로 펀드에 가입하려는 사람 입장에서는 추가형펀드가 유리하다.
<> 인덱스펀드 =펀드 수익률이 종합주가지수(인덱스) 수익률을 따라가도록
설계된 펀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종합주가지수 상승률 만큼만 먹겠다는 것.
반대로 주가가 떨어지면 그만큼 손실을 보겠다고 각오한다.
종합주가지수를 산정할 때 영향력이 큰 대형주 30~50개 정도를 편입해
운용한다.
그러나 인덱스펀드라고 해서 반드시 종합주가지수 만큼의 수익률을 내는
것은 아니다.
종합주가지수를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수 있도록 종목을 구성하느냐에 그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
뮤추얼펀드중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코스파이더", 주식형수익증권에는
한국투자신탁의 "인덱스헤지펀드", 대한투자신탁의 "인덱스 플러스펀드",
현대투자신탁증권의 "바이코리아인덱스펀드" 등이 대표적인 상품이다.
<> 전환형펀드 =주식형펀드에서 일정한 수익률을 달성하면 자동적으로
채권형펀드로 전환되는 펀드다.
일명 "카멜레온펀드"로 불린다.
주식형펀드로 운용하다가 20~30% 정도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펀드에
편입된 주식을 모두 처분하고 만기까지 채권 CP(기업어음) 등으로 굴린다.
이 경우 주식형펀드에서 얻은 확정수익률에다 "+알파(채권투자로 생기는
이자)"가 만기까지 보장되는 셈이다.
채권형으로 전환한 뒤에도 주가가 계속 오르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는
셈이지만 주가하락시 이미 벌어놓은 수익률을 까먹을 가능성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다.
현대투신운용의 "바이코리아 골든벨"의 경우 투자기간이 1년이상이지만
펀드별로 15%, 20%, 30%의 수익률을 달성하면 채권형으로 바뀐다.
삼성투자신탁증권에서 판매하는 "인베스티움 사파이어 전환형" 펀드는
30%를 달성하면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이밖에 대한투신의 "선앤문", 상은투신운용의 "한빛컨버터블", 조흥투신의
"체인지업" 등도 10~30%의 수익률을 넘어서면 안전한 채권형으로 전환된다.
<> 스폿펀드(spot fund) =주가 급등기엔 가장 인기를 끄는 상품이다.
일정한 수익률(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만기에 관계없이 투자자들에게
원금에다 투자수익을 얹어 되돌려 주기 때문이다.
"즉석의" "현장의"란 뜻의 spot이란 말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
목표수익률은 주로 10~12%선이다.
주가 급상승기에는 1주일만에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기도 한다.
펀드규모는 일반펀드에 비해 작다.
운용의 편리성을 위해서다.
주로 50억~2백억원 규모다.
그러나 목표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면 만기까지 돈을 찾을 수 없다.
종전에는 만기가 1년이었지만 요즘엔 3~6개월로 줄었다.
<> 코스닥펀드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기업의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대한투신의 "코스닥주식투자신탁", 현대투신운용의 "바이코리아코스닥펀드"
등이 대표적인 상품이다.
코스닥펀드는 일반 펀드와 다르게 펀드 자산의 90%까지 코스닥등록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지난 4,5월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으로 코스닥등록 주가가 활황세를
보이면서 등장한 틈새상품이다.
< 장진모 기자 j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1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