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샘물(생수) 시장이 ''그로기'' 상태에 빠졌다.

지난해 절반이 넘는 업체가 부도를 냈고 10여개 업체는 생산을 중단했다.

70여개 생수업체중 이익을 내는 업체는 10여개에 불과하다.

게다가 무자료거래와 덤핑이 성행함에 따라 세금을 내며 장사하는 기업들은
곤경에 빠졌다.

생수업계 관계자들은 한마디로 ''최악''이라고 울상을 짓는다.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지만 생수시장에는 아직 훈풍이 불지 않는다는 것.

우리나라 생수시장은 97년 1천1백84억원에서 지난해 9백4억원으로 24%나
위축됐다.

올해도 97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생수업계의 곤경은 과당경쟁에서 비롯됐다.

95년5월 "먹는물관리법"이 시행된 뒤 정부 허가를 받은 생수업체는 74개.

1천억원선의 시장 규모에 비하면 업체수가 너무 많다.

특히 영세업체의 난립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생수업계는 하루 취수량이 최소한 2백kl를 넘어야 이익을 낼 수 있다고
얘기한다.

그런데 절반인 37개 업체가 이 규모를 밑돈다.

무자료거래와 덤핑이 성행하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생수업계는 "과도한 세금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현재 생수에 대해서는 매출액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질개선부담금으로
부과한다.

부가가치세 10%를 더하면 생수 매출의 30%가 세금으로 나간다.

실제로 한 생수업체는 96년 3백53억원어치의 생수를 팔고 57억여원을
수질개선 부담금으로 냈다.

구조적으로 이익을 내기 어려운 일부 영세업체들은 세금을 물지 않으려고
유통업자들과 손잡고 무자료거래를 하고 있다.

물론 정상거래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헐값에 생수를 팔아넘긴다.

소비자에게 5천원에 판매하는 18.9l 들이 생수의 경우 생수업체에서
대리점에 넘기는 가격은 3천원선.

그러나 영세업체가 유통업자에게 무자료로 넘기는 값은 6백원에 불과하다.

통만 가져오면 거저 생수를 담아주는 거나 다름없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을 막기 위해 마련한 수질개선부담금제도가
당초 취지도 살리지 못한채 생수 유통구조만 왜곡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게다가 무자료거래가 성행하면서 소비자가 품질을 믿을 수 없는 불량생수를
마실 가능성도 커졌다.

생수업계의 한 관계자는 "과도한 세금이 탈세를 부추기고 있고 무자료거래가
성행하는 바람에 구조조정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문제를 해결하려면 수질개선부담금제도를 포함한 제도 전반을 뜯어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생수시장은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빅 3"의 순위가 바뀌진 않았다.

진로종합식품(진로석수)이 선두를 달리고 풀무원샘물과 스파클(제일제당의
자회사)이 그 뒤를 쫓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제주개발공사와 제휴,생수시장에 뛰어든 농심(제주삼다수)이
단숨에 4위로 뛰어올라 2,3위 업체를 위협하고 있다.

농심은 페트병 판매실적으로는 1위에 올랐다.

생수시장에 뒤늦게 뛰어들어 10위권에 진입한 동원산업(한국샘물)과
하이트음료(퓨리스)의 약진도 돋보인다.

반면 생수전문업체들은 대기업들에 자리를 내주고 있다.

전문업체로서 10위권에 드는 업체는 다이아몬드정수(다이아몬드)와
산수음료(물골안산수) 뿐이다.

지방의 군소업체들 가운데 상당수는 대기업에 생수를 납품하는 OEM(주문자
상표부착생산) 업체로 밀려났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