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1년] 미래비전 : 벤처기업..'황금알' 부화준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론은 잘됐으나 각론은 미흡하다''
정부가 벤처정책을 본격 가동한 지 1년여 지난 시점에서 벤처 관계자들이
내리는 대체적인 평가다.
지난 1년여간 벤처산업은 사실 부침의 연속이었다.
정부의 벤처드라이브 시책에 힘입어 사회 전반적으로 분위기는 고조됐다.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과학기술부 건설교통부 문화관광부 등 정부의 각
관련부처들은 경쟁적으로 정책을 쏟아냈다.
그만큼 대통령의 벤처육성에 대한 의자가 강했던 것이다.
하지만 말들에 비래 실천은 적었다는 지적이 많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벤처라는 화두를 일상화시킨 점에서 정부의 정책은 평가받을만
하다.
벤처정책의 핵심 슬로건은 벤처창업이었다.
앞으로 5년간 2만개의 벤처기업을 창업 육성하겠다는 정책에 따라 창업이
무엇보다 강조됐다.
창업의 보고인 대학의 기능과 역할도 재조명됐다.
대학에 창업인큐베이터가 대거 들어섰다.
이런 여건 속에서 얼어붙었던 경기가 다소 풀리면서 다행히 지난해 말 이후
창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선 벤처기업으로 전환하라"
정부의 각종 지원과 혜택이 벤처산업에 집중되면서 벤처기업으로 지정
받으려는 업계의 노력도 만만치 않았다.
정부도 일반 중소기업의 벤처기업 전환을 적극 권장했다.
전자조합의 경우 회원사들의 벤처기업 전환을 적극 권유 지원하기도 했다.
여기에 힘입어 지난해말로 벤처기업수가 2천개를 돌파해 당초 정부의 목표
(3천개)에는 못미쳤지만 그런대로 벤처기업을 양산해내게 됐다.
벤처창업 숫자는 그런대로 적지 않았으나 성공한 벤처기업은 그다지 많지
않아 기초만 다지는데 그쳤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IMF(국제통화기금) 한파로 기존 벤처기업,특히 성장단계에 있는 벤처기업들
은 금융경색으로 잇따라 부도를 냈다.
코스닥 시장의 지속적 침체와 투자기업들의 부실화 등으로 벤처캐피털회사
들 역시 1년여간 잔뜩 움츠린 모습이었다.
신규 투자를 하지 못하고 오히려 벤처기업 투자지분을 서둘러 회수하기까지
했다.
"벤처기업들이 많으면 뭐합니까. 성장해 코스닥시장에 등록하고 적정한
기업가치 평가와 투자회수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것이 안되니 자칫 부실만
양산할수도 있는 거지요"
벤처캐피털 업계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때문에 이들은 코스닥 육성을 위한 정부의 조치가 중요하다고 줄곧 강조해
왔다.
물론 소득도 있었다.
성장한 벤처기업들의 연이은 부도 속에서도 미국식 벤처성공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미국내 한국계 기업인 유리시스템스의 김종훈 회장이 지난 4월 미국
루슨트테크놀로지사에 자사를 10억달러에 매각한 것은 국내 벤처기업들에
신선한 자극제가 됐다.
이후 아이네트 어필텔레콤 등 유사한 사례가 잇따랐다.
벤처란 자손대대로 물려주는 것이 아니라 한 기업의 가치를 키운 뒤 이를
팔고 다시 새로운 회사를 육성하는 것임을 인식시켜 준 것이다.
대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스핀오프된 회사가 많이 생겨나 벤처기업의
양적 기반확보 차원에서 한몫하기도 했다.
현대전자 사업부에서 독립한 멀티캡,대우전자 디지털피아노 사업부에서
떨어져 나온 벨로체, 삼성물산에서 분사한 편리한세상 등이 그러한 예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해 벤처기업들은 매출에서 전년보다 19% 가량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97년 성장률(25.9%)보다 줄어들었지만 일반 제조업체에 비하면 여전히
신장률이 크게 높은 것이다.
올들어 벤처산업의 여건은 지난해보다 나아지고 있다.
경기가 조금씩 나아지는 조짐을 보이면서 자금조달 투자 등 여건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벤처 관련 자금은 넉넉한 편이다.
순수 국내 벤처투자 자금은 그다지 풍부하지 못하지만 투자대상 기업에
비해선 훨씬 많다는게 관계자들의 얘기다.
창업이 늘어나면 좋은 투자대상 기업들도 나오게 마련이어서 올해는 지난해
보다 모험투자액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제 정부가 정책들을 쏟아내기보다는 그동안 시행해온
정책들의 집행 및 효과여부를 점검하고 외화보다는 내실을 다져야할 때라고
지적하고 있다.
< 문병환 기자 mo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25일자 ).
정부가 벤처정책을 본격 가동한 지 1년여 지난 시점에서 벤처 관계자들이
내리는 대체적인 평가다.
지난 1년여간 벤처산업은 사실 부침의 연속이었다.
정부의 벤처드라이브 시책에 힘입어 사회 전반적으로 분위기는 고조됐다.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과학기술부 건설교통부 문화관광부 등 정부의 각
관련부처들은 경쟁적으로 정책을 쏟아냈다.
그만큼 대통령의 벤처육성에 대한 의자가 강했던 것이다.
하지만 말들에 비래 실천은 적었다는 지적이 많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벤처라는 화두를 일상화시킨 점에서 정부의 정책은 평가받을만
하다.
벤처정책의 핵심 슬로건은 벤처창업이었다.
앞으로 5년간 2만개의 벤처기업을 창업 육성하겠다는 정책에 따라 창업이
무엇보다 강조됐다.
창업의 보고인 대학의 기능과 역할도 재조명됐다.
대학에 창업인큐베이터가 대거 들어섰다.
이런 여건 속에서 얼어붙었던 경기가 다소 풀리면서 다행히 지난해 말 이후
창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선 벤처기업으로 전환하라"
정부의 각종 지원과 혜택이 벤처산업에 집중되면서 벤처기업으로 지정
받으려는 업계의 노력도 만만치 않았다.
정부도 일반 중소기업의 벤처기업 전환을 적극 권장했다.
전자조합의 경우 회원사들의 벤처기업 전환을 적극 권유 지원하기도 했다.
여기에 힘입어 지난해말로 벤처기업수가 2천개를 돌파해 당초 정부의 목표
(3천개)에는 못미쳤지만 그런대로 벤처기업을 양산해내게 됐다.
벤처창업 숫자는 그런대로 적지 않았으나 성공한 벤처기업은 그다지 많지
않아 기초만 다지는데 그쳤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IMF(국제통화기금) 한파로 기존 벤처기업,특히 성장단계에 있는 벤처기업들
은 금융경색으로 잇따라 부도를 냈다.
코스닥 시장의 지속적 침체와 투자기업들의 부실화 등으로 벤처캐피털회사
들 역시 1년여간 잔뜩 움츠린 모습이었다.
신규 투자를 하지 못하고 오히려 벤처기업 투자지분을 서둘러 회수하기까지
했다.
"벤처기업들이 많으면 뭐합니까. 성장해 코스닥시장에 등록하고 적정한
기업가치 평가와 투자회수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것이 안되니 자칫 부실만
양산할수도 있는 거지요"
벤처캐피털 업계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때문에 이들은 코스닥 육성을 위한 정부의 조치가 중요하다고 줄곧 강조해
왔다.
물론 소득도 있었다.
성장한 벤처기업들의 연이은 부도 속에서도 미국식 벤처성공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미국내 한국계 기업인 유리시스템스의 김종훈 회장이 지난 4월 미국
루슨트테크놀로지사에 자사를 10억달러에 매각한 것은 국내 벤처기업들에
신선한 자극제가 됐다.
이후 아이네트 어필텔레콤 등 유사한 사례가 잇따랐다.
벤처란 자손대대로 물려주는 것이 아니라 한 기업의 가치를 키운 뒤 이를
팔고 다시 새로운 회사를 육성하는 것임을 인식시켜 준 것이다.
대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스핀오프된 회사가 많이 생겨나 벤처기업의
양적 기반확보 차원에서 한몫하기도 했다.
현대전자 사업부에서 독립한 멀티캡,대우전자 디지털피아노 사업부에서
떨어져 나온 벨로체, 삼성물산에서 분사한 편리한세상 등이 그러한 예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해 벤처기업들은 매출에서 전년보다 19% 가량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97년 성장률(25.9%)보다 줄어들었지만 일반 제조업체에 비하면 여전히
신장률이 크게 높은 것이다.
올들어 벤처산업의 여건은 지난해보다 나아지고 있다.
경기가 조금씩 나아지는 조짐을 보이면서 자금조달 투자 등 여건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벤처 관련 자금은 넉넉한 편이다.
순수 국내 벤처투자 자금은 그다지 풍부하지 못하지만 투자대상 기업에
비해선 훨씬 많다는게 관계자들의 얘기다.
창업이 늘어나면 좋은 투자대상 기업들도 나오게 마련이어서 올해는 지난해
보다 모험투자액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제 정부가 정책들을 쏟아내기보다는 그동안 시행해온
정책들의 집행 및 효과여부를 점검하고 외화보다는 내실을 다져야할 때라고
지적하고 있다.
< 문병환 기자 mo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