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92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초장기 호황에도 불구하고 계층간 소득 및
빈부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는등 심각한 내부 취약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 타임스는 4일 "99년 경제 전망"특집에서 <>분배 불균형 <>빈부 격차
확대 <>생산성 정체 <>학력간 격차 심화 <>사회 복지축소 등 "5대
아킬레스 건"이 미국 경제의 미래에 큰 짐을 지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프랭크 레비(MIT) 셸던 댄지거(미시건대) 에드워드 월프(뉴욕대)
등 저명한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이들 "5대 원죄"를 해결하지 않는
한 미국의 경제적 성공은 사상누각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분배 불균형=레비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소득격차는 해가 갈수록
늘어나 지난 97년의 경우 미국 납세자의 상위 0.5%가 전체 미국 소득의 11%를
싹쓸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를 기준으로 할 경우 이비율은 20%로 확대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레비 교수는 "새로운 달러와 꿈"이라는 최근 저서에서 "미국이 사상
최강의 경제력을 구축했다지만 전체 어린이의 5분의 1이 빈곤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며 "호황기에도 이 정도라면 불황기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수 없는 정도"라고 개탄했다.

<>빈부 격차 확대=월프 교수에 의하면 미국인의 20%는 빚이 많은
순채무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미국내 총 재산 가운데 하위 40%의 가계가 점하는 비중은 단 0.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위 1%의 가계가 미국 재산의 거의 40%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종간 소득 격차도 확대돼 95년 기준으로 흑인 중산층의 평균 재산은
백인 중산층 평균의 단 12%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순채무 인구비율도 백인은 15%에 불과한 반면 흑인은 30%에 달했다.

<>생산성 정체=미국의 평균 생산성은 50년대와 60년대에 연간 3%대를
기록한 뒤 70년대 이후에는 1%대로 뚝 떨어졌다.

생산성이 떨어진 상태에서 경제가 확대되려면 개인 저축과 기업들의
투자가 크게 늘어나야 하지만 지난 10월부터는 저축율조차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학력간 격차=75년에는 25~34세의 미국인 대졸 남자들이 같은 연령대의
고졸 학력자에 비해 15%의 임금을 더 받았지만, 요즘은 무려 50%의 봉급을
더 챙기고 있다.

더욱이 대학 등록금이 계속 치솟아 저소득층의 진학 기회는 상대적으로
줄고 있다.

92년의 경우 하위 25%의 가계에서 40%가 대학에 들어가지 못한 데 비해
상위 25%의 가계는 10%만이 대학 진학에 실패했다.

<>구멍뚫리는 사회 안전망=의료보험 수가가 비싸지면서 보험 가입을
포기하는 빈곤층이 늘고 있다.

의료보험 미가입자는 전체의 16%에 달하며, 갈수록 그 수치가 높아지는
추세다.

미국 경제가 첨단-고숙련 기술자 위주로 발전하면서 저급 근로자들의
설 땅이 크게 좁아지고 있는 점도 문제다.

50여년 전에는 저임 근로자라도 남부 농업지대나 북부 공업지대 등으로
이동할 경우 새로운 기회와 만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길마저 사라졌다.

"출구"가 막혀버린 것이다.

< 뉴욕=이학영 특파원 hyrhee@earthlink.net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