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쪽배를 타고 푸른 하늘 은하수를 건너는 상상 속의 토끼.

"벅스 버니"처럼 얄밉고 앙증맞은 캐릭터 상품으로서의 토끼.

어린 시절부터 누구에게나 친근한 동물인 토끼는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전세계에 59종이나 분포할 정도로 종류가 다양하다.

토끼는 쥐나 다람쥐 비버 등과 함께 쥐목에 딸린 토끼아목으로 분류돼
왔지만 최근 토끼의 앞니와 다리 뒤꿈치의 구조가 쥐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독립된 토끼목으로 구분하고 있다.

토끼목은 토끼과와 우는토끼과 둘로 나뉜다.

토끼과에는 만주메토끼, 메토끼(산토끼), 굴토끼(집토끼의 조상)가 있다.

산토끼와 집토끼는 분류학상으로 완전히 다른 독립종이어서 교배를 통한
번식이 불가능하다.

"비루루.."하며 호루라기같은 울음 소리를 내는 우는토끼는 북아메리카
동유럽 중동, 그리고 히말라야이북 아시아에 서식한다.

한반도에는 백두산과 함경도 지역에 체구가 작은 북방우는토끼가 살고 있다.

해발 5백m이하의 야산에 분포하는 메토끼는 한군데 머물러 있는 정주성이
특징이다.

사냥꾼이나 천적을 만나도 부동자세로 숨어서 가만히 앉아있다가 마지막
순간에서야 도망을 간다.

메토끼는 튼튼한 뒷다리로 오르막길을 시속 60km로 달아나기 때문에 좀처럼
잡기가 힘들다.

특히 속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갈짓자로 달릴수 있어 날쌘 짐승이라도
따라가기 어렵다.

하지만 달아난 메토끼는 정주성 때문에 곧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습성이
있어 사냥꾼들은 이를 이용해 사냥을 하기도 한다.

굴토끼는 메토끼와 달리 땅속에 굴을 파고 산다.

메토끼만큼 빠르지는 못하지만 땅을 잘 파도록 앞다리가 발달했다.

소심해서 거의 종일 굴속에 머물러 있으며 해질녘에 먹이를 찾아 나선다.

원래 토끼가 없던 호주와 뉴질랜드에 이 굴토끼가 반입돼 한때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생태계를 교란시켜 문제가 되기도 했다.

토끼의 가장 특이한 점은 소화 생리다.

토끼는 대변을 두가지 형태로 배설한다.

처음에는 수분이 많은 설사똥이 나오고 이를 다시 핥아먹은 후 우리가
흔히 보는 콩알 모양의 대변을 내놓는다.

설사똥은 비타민과 영양분이 함유된 점액질로 토끼는 이를 통해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한다.

교미기는 겨울이 끝나는 2~3월이며 수컷들은 배우자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싸움을 한다.

한마리의 수컷은 여러마리의 암컷들과 교미한다.

메토끼는 약40일, 굴토끼는 약30일의 임신후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굴토끼를 가축용으로 길들인 집토끼는 고기와 털을 얻기위해 고대 로마원정
군들이 본격적으로 사육하기 시작했다.

현재 50여종의 개량종이 있다.

집토끼는 생후 6개월부터 번식하기 시작한다.

1년에 3~4회 임신이 가능하다.

한배에 4~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명은 10년 정도다.

< 박해영 기자 bono@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