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12월3일 밤 10시.

당시 임창열 경제부총리와 이경식 한국은행총재는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
에서 미셸 캉드쉬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지켜 보는 가운데 IMF 구제금융
을 위한 정책이행각서에 공식 서명했다.

캉드쉬 총재는 한국민들에게 "한국의 IMF행은 불행으로 가장된 축복
(blessing in disguise)"이라며 위로했다.

그로부터 1년이 흘렀다.

소위 IMF 관리체제 1년동안 한국경제는 상상을 초월하는 "불행"을 요구
받았다.

1백만명을 넘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어 거리로 쏟아져 나왔고 모든 가계는
그나마 넉넉지도 않던 허리 띠를 다시 졸라매야 했다.

상당수 부실 금융기관들이 통폐합됐고 적지않은 기업들은 아예 퇴출됐다.

그러나 분명한 건 그런 고통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IMF체제 1년을 보낸 지금 한국은 외환위기를 성공적으로 탈출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금융시장도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고 실물경제도 회생의 서광이 희미하게나마
비치기 시작했다.

물론 아직은 축복이었다고 단언하기 어렵다.

하지만 IMF체제는 한국경제에 대전환의 변곡점이 됐던 것만은 분명하다.

21세기 재도약을 위한 "하드 트레이닝(hard training)" 기간이었다고 해도
좋다.

한국경제신문은 "IMF의 해"로 기록될 98년 한햇동안 한국경제의 궤적을
총결산함으로써 내일의 "축복"을 다지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