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요계의 큰 별이 떨어졌다.

"눈물젖은 두만강"으로 잘 알려진 김정구옹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
레스 산타클라라 자택에서 25일 오전 10시(현지시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2세.

고김옹은 지난 반세기가 넘는 기간동안 무대를 지켜왔던 가요계의 산 역사
였다.

그는 특히 우리민족의 애환을 담은 노래를 많이 불러 그의 별세소식을 접한
국민들의 가슴을 더욱 허전하게 만들고 있다.

한국연예협회 가수분과위원회 김광진 위원장은 "민족의 한을 노래로 달래
주던 가요계의 큰 별이 스러졌다"며 "우리 가요계의 정신적인 버팀목이었던
분이 세상을 떠 가슴아프다"고 말했다.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김옹은 신문배달 등을 하며 어려운 소년시절을
보내다 1933년 17세때 형 용환씨가 작곡한 "어머님의 품으로"란 곡으로 노래
인생을 시작했다.

이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남인수 장세정씨 등과 함께 OK레코드에 스카우트
됐다.

그는 이후 뛰어난 감수성으로 "눈물젖은 두만강" "낙화삼천" "바다의
교향시" 등 7백여곡을 히트시키며 70세가 넘도록 민족의 애환을 노래해
"국민가수"로 불렸다.

특히 1935년에 발표한 "눈물젖은 두만강"은 실향민뿐만 아니라 분단의
아픔을 겪고 있는 우리 모두의 애창곡으로 사랑받았다.

지난 80년에는 우리 가요계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연예인으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 문화훈장"을 받았다.

눈물젖은 두만강은 85년 남북예술단 교환공연 때에도 불러 평양무대를
눈물로 적시기도 했다.

그는 당시 "내 가슴은 동포들의 박수소리에 온통 눈물로 젖었다"는 말로
그리던 북녘땅의 무대에 선 감격을 표현했다.

그는 "무대에서 쓰러지고 싶다"고 입버릇처럼 말했지만 노환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93년 2월 모든 활동을 중단한 채 미국으로 건너가 요양해왔다.

유족은 부인 조남진씨와 2남3녀.

영결식은 29일 오전 10시 서니데일의 리마 패밀리장의사에서 열리며 산타클
라라 스카이론 메모리얼파크에 안장된다.(1-408-247-7046)

한국연예협회 가수분과위원회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 충일빌딩 3백2호 위원회
사무실(3445-6031)에 김옹의 빈소를 마련, 29일까지 추모객을 맞는다.

< 김재일 기자 Kji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