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교통사고 건수와 사망자수, 부상자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차량대수와 비교한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아직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차량 1만대당 13.2명으로 미국(2.1명), 일본(1.5명)에 비해 훨씬 높다.

교통사고는 특히 장애인을 양산하고 있어 문제다.

현재 교통사고로 장애인이 된 사람은 8만8천여명.

전체 장애자중 8.5%에 달하는 수치다.

정상인들도 이런 가능성에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상인들도 자신이 교통사고로 장애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74.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사실 장애인이 발생한 데 따른 사회적 비용은 장애예방에 드는 비용보다
훨씬 많이 든다.

장애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도 필요하다.

또 사고로 장애자가 된 당사자와 가족들의 고통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만큼 크다.

특히 경제위기가 계속 심화되고 있어 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은 더욱 힘들어
질 수 밖에 없다.

치료비용을 마련하지 못하는 장애인들도 부지기수다.

따라서 장애인 정책은 장애발생을 예방하는 데 촛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복지확대 못지 않게 장애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통안전의식
고취, 안전시설물 확충 등에 노력해야 한다.

도로정책의 방향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도로정책은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주력해 왔다.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도로확장에만 신경쓰다 보니 도로안전 측면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도로정책도 안전중시, 사전예방 등으로 무게중심을 달리해야 한다.

이와 함께 빠르고 효율적인 부상자 치료체계도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체계 구축 등이 좋은 예다.

장애인 문제는 우리 국민 모두의 문제다.

전체 장애인의 88%가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인이란 사실을 감안하면
누구도 장애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정부 뿐 아니라 관련 단체와 국민 모두의 관심이 더욱 필요한 때다.

김태섭 <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심의관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