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생명윤리의 도전 .. 송상용 <한림대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송상용 < 한림대 교수. 과학기술사 >
올 봄 대우재단빌딩에서 한국생명윤리학회 창립총회가 열렸다.
모인 사람들은 30여명밖에 안됐지만 철학, 의학, 법학, 과학을 대표하는
다채로운 학자들이 자리를 같이했다.
뜻깊은 출발이었다.
그러나 이튿날 언론은 이 중요한 모임을 한줄도 보도하지 않았다.
작년 그맘때 복제양 돌리가 태어났을 때는 어땠던가.
모든 언론이 마치 인간복제가 당장 실현되는듯 호들갑을 떨었던 것이다.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종교계였다.
물론 하나같이 인간복제는 절대로 안된다는 결론이었다.
한국과학기자클럽이 주최한 세미나를 시작으로 이 문제를 논의하는 모임이
곳곳에서 잇달아 열렸다.
정부와 국회도 대책을 세우기에 바빴다.
이런 열풍이 지나간 뒤 이제는 모두 잊어버렸는지 아무 얘기도 없다.
생명윤리의 역사는 오래다.
지금으로부터 2천5백년전에 나온 히포크라테스선서에는 의사가 환자에 대해
지켜야 할 윤리가 들어 있다.
설사 환자가 요청한다 해도 극약을 주지 않을 것이며 낙태도 시키지
않겠다는 것 따위가 그것이다.
의술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처음부터 윤리는 뺄 수 없었던 것이다.
고전적인 뜻에서 생명윤리는 말할 것도 없이 의료윤리이다.
낙태와 안락사는 오래 됐으면서도 끊임없이 논란이 계속되는 의료윤리의
대표적인 문제다.
새로운 의학기술이 가져온 문제로는 장기이식, 시험관아기, 태아의 성감별
등이 있다.
이밖에도 많은 문제들이 윤리적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더욱이 이런 난제들은 의사와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1953년 핵산의 구조가 밝혀지면서 출발한 분자생물학은 생명윤리에 전혀
새로운 영역을 구가하게 되었다.
유전의 기초가 물질임이 명백해지자 유전자를 조작함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을 개조하는 유전공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 반세기 동안 급진전을 보인 생명과학시술은 일찍이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현실로 보여 주었고 그 결과 우리는 심각한 윤리적 딜레마를
안게 되었다.
이미 80년대에 학계는 잠재적 위험을 갖고 있는 재조합유전자 연구를
규제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을 벌인 바 있다.
그때 이후 문제는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고 있다.
7년전 미국이 주도해 착수한 인간게놈 프로젝트는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계획은 2005년까지 30억달러를 투입하게 되며 30억개나 되는 유전자를
샅샅이 분석해 지도를 만들면 난치병 치료의 길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시에 이것이 오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우려하는 소리가 높다.
유네스코는 이 중요한 문제에 착안해 국제생명윤리위원회를 만들어 4년동안
토론한 끝에 작년 11월11일 인간게놈과 인권에 관한 보편선언을 채택했다.
이 선언은 인류의 정체성과 개인의 존엄이 보호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인간게놈의 연구는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지키는 한도 안에서 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10년전 일본에서 처음으로 생명윤리학회가 발족한 이래 세계생명윤리학회,
아시아생명윤리학회가 잇달아 태어나면서 생명윤리는 가장 주목받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생명공학 육성책을 펴온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입이후
규제입법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따라서 생명윤리의 연구와 토론이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는 절실하다.
시민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할 시민단체의 몫도 또한 중요하다.
덴마크와 네덜란드 같은 선진국에서는 전문가와 시민들이 모여 생명윤리의
문제를 논의하는 합의회의가 열려 정책에 반영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는 오는 가을 유전자치료와 동물복제에 관한 합의회의를
열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지난달 일본의 전문가까지 불러 준비모임을 가졌다.
이 행사에도 한국의 언론은 철저히 무시했다.
천명을 넘어서 회원들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일본에 견주어
우리나라의 생명윤리에 대한 무관심은 걱정스럽기만 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4일자 ).
올 봄 대우재단빌딩에서 한국생명윤리학회 창립총회가 열렸다.
모인 사람들은 30여명밖에 안됐지만 철학, 의학, 법학, 과학을 대표하는
다채로운 학자들이 자리를 같이했다.
뜻깊은 출발이었다.
그러나 이튿날 언론은 이 중요한 모임을 한줄도 보도하지 않았다.
작년 그맘때 복제양 돌리가 태어났을 때는 어땠던가.
모든 언론이 마치 인간복제가 당장 실현되는듯 호들갑을 떨었던 것이다.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종교계였다.
물론 하나같이 인간복제는 절대로 안된다는 결론이었다.
한국과학기자클럽이 주최한 세미나를 시작으로 이 문제를 논의하는 모임이
곳곳에서 잇달아 열렸다.
정부와 국회도 대책을 세우기에 바빴다.
이런 열풍이 지나간 뒤 이제는 모두 잊어버렸는지 아무 얘기도 없다.
생명윤리의 역사는 오래다.
지금으로부터 2천5백년전에 나온 히포크라테스선서에는 의사가 환자에 대해
지켜야 할 윤리가 들어 있다.
설사 환자가 요청한다 해도 극약을 주지 않을 것이며 낙태도 시키지
않겠다는 것 따위가 그것이다.
의술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처음부터 윤리는 뺄 수 없었던 것이다.
고전적인 뜻에서 생명윤리는 말할 것도 없이 의료윤리이다.
낙태와 안락사는 오래 됐으면서도 끊임없이 논란이 계속되는 의료윤리의
대표적인 문제다.
새로운 의학기술이 가져온 문제로는 장기이식, 시험관아기, 태아의 성감별
등이 있다.
이밖에도 많은 문제들이 윤리적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더욱이 이런 난제들은 의사와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1953년 핵산의 구조가 밝혀지면서 출발한 분자생물학은 생명윤리에 전혀
새로운 영역을 구가하게 되었다.
유전의 기초가 물질임이 명백해지자 유전자를 조작함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을 개조하는 유전공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 반세기 동안 급진전을 보인 생명과학시술은 일찍이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현실로 보여 주었고 그 결과 우리는 심각한 윤리적 딜레마를
안게 되었다.
이미 80년대에 학계는 잠재적 위험을 갖고 있는 재조합유전자 연구를
규제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을 벌인 바 있다.
그때 이후 문제는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고 있다.
7년전 미국이 주도해 착수한 인간게놈 프로젝트는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계획은 2005년까지 30억달러를 투입하게 되며 30억개나 되는 유전자를
샅샅이 분석해 지도를 만들면 난치병 치료의 길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시에 이것이 오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우려하는 소리가 높다.
유네스코는 이 중요한 문제에 착안해 국제생명윤리위원회를 만들어 4년동안
토론한 끝에 작년 11월11일 인간게놈과 인권에 관한 보편선언을 채택했다.
이 선언은 인류의 정체성과 개인의 존엄이 보호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인간게놈의 연구는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지키는 한도 안에서 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10년전 일본에서 처음으로 생명윤리학회가 발족한 이래 세계생명윤리학회,
아시아생명윤리학회가 잇달아 태어나면서 생명윤리는 가장 주목받는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생명공학 육성책을 펴온 우리나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입이후
규제입법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따라서 생명윤리의 연구와 토론이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는 절실하다.
시민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할 시민단체의 몫도 또한 중요하다.
덴마크와 네덜란드 같은 선진국에서는 전문가와 시민들이 모여 생명윤리의
문제를 논의하는 합의회의가 열려 정책에 반영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는 오는 가을 유전자치료와 동물복제에 관한 합의회의를
열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지난달 일본의 전문가까지 불러 준비모임을 가졌다.
이 행사에도 한국의 언론은 철저히 무시했다.
천명을 넘어서 회원들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일본에 견주어
우리나라의 생명윤리에 대한 무관심은 걱정스럽기만 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