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에 전화는 우리민족에게 식민지배의 상징이었다.

전신주에 올라가 전화줄을 절단하는 것이 독립운동의 한 수단이었다 한다.

그러나 오늘날 전세계가 이웃같이 가까워지면서 전화보급은 정보화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가 됐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전화 2천만회선시대에 들어갔다.

1천만회선때 우리는 "1가구 1전화시대"가 열렸다 했다.

그러나 지금은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보급이 크게 늘어 전화가
생필품화되면서 "개인전화시대"를 열고있다.

이 전화가 종종 범죄자의 협박용도구나 전화폭력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다.

지난 95년 대구시의원 납치범은 아주 지능적으로 전화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공중전화를 이용해 30여차례 협박을 하면서 한곳에서 10초이상 끌지않았다
한다.

경찰의 발신지추적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그런 범죄자도 결국은 실수로 9분여간 통화를 하다가 발신지추적에 의해
붙잡혔다.

지난96년 국내경찰에는 첨단 발신지추적시스템을 도입,지금은 "112전화"가
걸려오면 전화를 건 곳의 주소나 전화번호를 자동확인할수있다 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주로 유선전화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차량전화 휴대전화 등 무선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에서는 발신지 추적이
힘들다.

국내휴대폰은 대개 2~5km마다 설치된 전파기지국의 지원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폰 악용자의 위치를 파악은 할수있으나 그 범위가 "청량리일대"
"광화문지역"식으로 너무 넓어 효용성이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이달부터, 미국서는 오는 4월부터 휴대폰발신지추적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외신이 전한다.

삼각측정원리를 써서 위치를 추적하기때문에 오차범위가 1백25m이내로
정확도가 높다고 한다.

또 통화접속정보를 분석하면 3개월전에 걸었던 전화발신지까지 추적이
가능하다고 한다.

주자십회에 담을 고치지 않으면 도둑을 맞은 뒤에 뉘우친다는 말이 있다.

문명의 이기를 제공하기위해 과학기술이 필요하지만 악용을 막기위해서도
또한 과학기술이 필요한 셈이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