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하늘에 흰구름을 뒤로 하고 울긋불긋 점 하나가 뱅뱅 돌아 내려온다.

산마루를 배경삼아 패러글라이딩 하나가 커다란 몸체를 좌로 우로, 위로
아래로 마치 기러기처럼 갸우뚱거리며 하얀 원위에 사뿐히 내려앉는다.

순간 일제히 뿜어져 나오는 일행의 박수 소리와 환호성, 휘파람 소리,
뭉클하게 느껴지는 처녀 비행의 성취감.

인간은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을 갖고 있었다.

이를 실현시킨 교통수단이 항공기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늘을 나는 일"은 조종사의 몫으로 떼어놓는다

스스로 하늘을 나는 일이란 불가능한 것일까.

"그렇지 않다"는 웅변의 한가운데 우리 "아시아나항공 패러글라이딩"이
있다.

패러글라이딩처럼 항공사에 잘 맞아떨어지는 동우회는 없을 것이다.

아무래도 "하늘을 난다"는 공통점 때문이다.

항공사 직원만큼 비행에 대한 꿈과 목적의식이 강한 사람들도 없으리라.

그래서인지 아시아나항공 패러글라이딩은 이제 갓 두돌을 넘겼는데 회원
수는 여성회원 47명을 포함, 총 1백3명에 이르고 있다.

우리 모임의 급성장은 회사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은 바 크지만 무엇보다
동우회 활동에 대한 직원들의 기대와 멤버들의 열성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본다.

회장인 필자와 부회장인 운항정비팀 이우희 대리, 박병일 대리, 처녀비행
에서 전봇대에 걸려 "봇대맨"으로 통하는 일반자재팀 유진철 사우, 비행
소감으로 "토함산 매미도 온 몸으로 울었다"는 명언을 남긴 시스템사업팀의
이용혁 사우, 충북 단양 비행에서 기교를 부리다 시냇물에 풍덩해서 잠수조가
되었던 기재관리팀 윤상권 사우 등을 주축으로 "이카루스의 후예들" 1백여명
이 포진하여 비상에의 자유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우리 모임의 모토는 "인간은 끝없는 도전을 통해서 자기 성취와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 안전장치가 없을 수 없다.

"선 안전 후 비행"의 원칙 고수다.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점에선 항공사인 우리 회사와 원칙이 같다.

우리는 매월 2회씩 전국의 활공장을 순회하며 창공을 날고 있다.

지난해에는 1박2일 일정으로 제주도를, 금년 여름에는 4박5일 일정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섬으로 해외원정 비행도 실시했다.

내년에는 호주원정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을 가진 모든 이에게 우리 모임의 문은 창공처럼
활짝 열려 있다.

가입 후에는 비행의 기초부터 단독비행까지 완벽한 지도 육성이 보장되어
있다.

이번 주에도 많은 멤버들이 산과 하늘이 맞닿는 곳, 인간이 벗하는 자연
그대로의 창공으로 날기 위해 맡은바 업무에 충실하며 주말을 손꼽아 기다
리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