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귀래 < KOTRA 북미지역본부장 >

70년대초부터 시작된 한국기업의 대미투자는 80년대 들어 전자 철강 등
제조업 부문에서 비교적 대규모화 했으며 90년대 들어서는 가전 3사의 미국
현지공장 인수가 활발한 편이다.

그러나 모든 투자가 결실맺기를 기대하긴 어렵다.

실패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투자를 하기 전에는 충분한 사전조사가 필요하다.

이같은 사전조사 작업은 다소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현지의 믿을만한 시장
조사 및 컨설팅업체들에 의뢰하는게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각 주정부들이 투자기업에 제공하는 각종 인센티브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지방정부의 인센티브는 세금감면 및 면제, 종업원 교육 훈련 등 비교적
정형화된 것들부터 직접적인 금융지원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특히 유의할 점은 인센티브 내용이 투자기업과 지방정부 투자담당관의
협상과정에서 크게 달라질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에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은 진출에 따른 고용증가 및 세수확대
등에 대한 자료를 치밀하게 작성해 인센티브 협상테이블에서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미국의 경우 공해에 대한 제재가 엄격하기 때문에 인수대상기업의 업종이
제조업일 경우 환경오염에 대한 관련 법규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