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수 < 선경증권 이사 >

1980년대 초반이후에 발생하였던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규모 금융불황은
수백개의 금융기관들을 파산으로 몰고 갔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을 주로 하고 있던 소규모 금융기관(S&L 등)들의 피해는
막심하였다.

이와같은 금융공황의 주원인은 석유생산의 비중이 높았던 이들 지역에
1980년대 초의 유가 상승에 의한 호황이후 불어닥친 경기침체에 기인한다.

하지만 이러한 외부적 요인에 못지 않게 이들 금융기관및 금융제도와
관련된 문제점들도 여러가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는 <>당시의 금융완화정책에 의한 금융기관들의 숫적
증가에 따른 경쟁의 심화 <>세제의 변화에 의한 저축수요의 감소 <>일부
경영층의 경험 부족 등이 열거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기관들을 파산으로 이끈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이들 금융기관들이 고정금리부 장기주택담보대출(Mortgage Loan)의
비중을 지나치게 증대시킨데 반해 대출 재원은 단기변동금리성 수신에
의존했다는 점이다.

이들 소규모 금융기관들이 경기활황에 의한 저금리시기에 미래의 금리변동
위험을 대비한 특별한 준비없이 20~30년짜리의 장기대출이 주를 이루는
주택담보대출에 지나치게 자산의 비중을 높인 것은 매우 투기적인 운영형태
였다고 할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대출 재원이 되었던 단기예금금리의 급격한 상승(1978년
9% 남짓했던 미국의 단기국채인 3개월짜리 T-Bill의 금리가 1980년말에는
16% 가까이 상승하였다)으로 수지 악화를 불러와 대규모 파산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볼수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 금융불황은 관련 금융기관들로 하여금 장기 대출금리의
단기금리 연동화나 대출채권의 증권화 등을 통한 금리변동 위험회피기법을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다.

최근 한국의 일부 금융기관들이 고정금리부 장기해외자산을 매입하고 이를
위한 자금을 단기외환시장을 통하여 조달하다 역마진에 따른 손실은 물론이고
국내의 외환시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리변동의 리스크에 대한 헤지(방지책)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단기자금
조달로 장기운용자산에 활용하는 기간불일치가 야기한 미국금융기관들의
파산은 우리나라 금융기관들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