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 봉천동 서울제과기술학원.

저녁 7시가 되자 강의실에서 수강생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20대 청년부터 50을 훨씬 넘긴 중년까지 수강생들의 연령층도 다양했다.

20명이 조금 넘는 수강생들 중에는 넥타이를 맨사람도 끼어 있어 전직을
준비하는 직장인이 있다는 것을 쉽게 짐작케 했다.

이 학원의 김규호 원장은 "24명 정원중 3분의 1 가량은 직장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귀띔해 준다.

그는 "작년말부터 수강생이 20%정도 늘었는데 이 가운데는 직장인 뿐
아니라 실직자들도 상당수 있어 최근 심각한 실업상황을 피부로 느낄수
있다"고 밝힌다.

고용불안이 높아지면서 제빵 자동차정비 공인중계사 등 자격증 관련
학원은 문전성시다.

직장에서 능력있는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직업능력교육을 받는 사람도
눈에 띠게 늘고 있다.

바로 실직자들과 전직을 대비한 직장인들이 고실업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생존티켓"을 따려고 몸부림치고 있는 것이다.

고용불안의 체감지수는 상상을 뛰어넘을만큼 높다.

서울 방배동 동경요리학원.수강생 70여명중 절반이 30-40대 남자다.

"회사를 그만두고 나면 음식점을 빼고는 딱히 할 일이 없을 것 같아요.
먹는 장사라고 해도 내가 요리를 모르면 돈벌기가 쉽지 않다고 해서 직접
배우기로 했지요"

H실업의 영업부 차장으로 있는 김현수씨(38)가 요리를 배우러 온 이유다.

체면을 차릴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올초 수강생을 뽑은 종로구 인사동 서울정보처리학원에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사람이 3백명이나 몰렸었다.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이중 대기업이나 관공서 정부투자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가 30%를
웃돌고 있다.

"딱히 기사자격증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뭔가 믿을 수 있는 구석은
만들어 놔야 겠다는 생각에서 등록했습니다. 언제 나가라고 할지도 모르고
또 직장에 다닌다고 해도 남들보다 나은게 하나라도 있어야 되지 않겠어요"

정부투자기관에 다니는 박윤길씨(33)는 혹시 있을지도 모를 실직에 대비
하고 또 직장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다목적용으로
기사자격증을 따기로 했다.

고실업시대의 생존티켓 확보는 남편들만 하는게 아니다.

남편들의 고용불안이 높아지면서 "탈 전업주부"를 선언하며 각종 학원에
다니는 여성들이 늘고 있는 것.

서울 관악구 신림8동 국제미용인정직업훈련원.

헤어미용-피부관리-메이크 업 등 3개부문을 운영하는 이 학원의 지난달
수강생은 3백여명.

작년보다 두배이상 늘어났다.

친구 남편이 명예퇴직을 당하는 것을 보고 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다는
주부 변경숙씨(34)는 "혹시 남편에게 무슨일이 생길 지 몰라 기술을
배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자격증 학원뿐아니라 재직근로자들의 교육열기도 뜨겁다.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교육을 받아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회사원들이
직업능력교육기관에 몰리고 있는 것.

지난 3월말 현재 작년 같은 기간보다 59%나 늘어난 2천69명이 훈련을
받았다.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직장인이 그만큼 증가했다는 뜻이다.

"교육생도 많아졌지만 배우려는 태도가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진지하다"는게 강사들의 평가다.

이 곳에서 기계작동을 배우고 있는 박효원씨(H컴퓨터 대리.34)는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받으면 명예퇴직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업무에 필요한
자격증을 땀으로써 자신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고실업시대를 살아가는
생존의 지혜"라고 말한다.

고실업시대를 살아가는 직장인들은 이처럼 "고용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목표는 안정된 일자리의 확보다.

사업가들로 성공한 선배-동료들의 창업성공담은 그래서 항상 신화처럼
가슴에 와 닿는다.

평생고용이라는 신화가 깨진 틈새로 언제 밀려날지 모르는 직장인들의
고용불안이 자꾸만 새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조주현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