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생활공간개발이 10여년만에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자치단체들이 수익사업을 위해 앞다퉈 나서고 있고 민간기업도 "숨겨진
토지"인 지하공간에 눈을 돌리는 추세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지난 85년 준공된 동대문2차지하상가 이후 12년만에
관악로 지하공간개발사업을 도시계획안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하철2호선 서울대입구역을 중심으로 관악구청 앞부터 중앙시장에 이르는
관악로 7백30m를 개발, 4만5천1백70평방m의 지하공간을 확보해 보도와 상가
및 주차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관악구는 7백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을 민자로 유치, 오는
5월께 사업자를 공모할 계획이다.

구에 따르면 대우 쌍용 동아 삼환기업 등이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다.

영등포구도 영등포로터리와 영등포역 영등포사거리를 삼각형으로 잇는
1천2백90m의 도로 지하개발을 민자사업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이밖에 구로구청앞 가마산길과 동작구 노량진역앞 도로도 구들이
지하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도심재개발사업에서도 지하공간개발이 활발하다.

종로구 청진동일대 7만8천여평방m를 지하3층 규모로 건설하는 안이 시의
도시계획결정을 기다리고 있고 남대문로 5가와 저동2구역 세운상가구역
재개발사업도 지하공간개발방식이 적용될 예정이다.

민간기업이 먼저 자치단체에 제안하는 경우도 있다.

극동건설은 삼성동 영동대로 지하를 상가와 경전철이 다니는 공간으로
개발하겠다는 사업의향서를 현재 강남구에 제출한 상태다.

서울시는 올해중 지하공간개발 종합계획을 수립, 지하공간개발로 빚어지는
교통 환경 등 관련문제들을 해결해 개발사업을 활성화시킬 방침이다.

이와관련 한국지하공간협회 이충재 사무국장은 "토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하공간개발을 적극 유도하기위해 도시계획법 도로법 등으로 흩어져있는
규정이 하나로 정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김준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