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대와 70년대 고도성장을 거듭하던 우리의 경제가 80년대 중반
이후부터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기 시작하더니 마침내 1,000억달러에
가까운 외채를 진 채무국이 되어 버렸다(우리가 해외에 갖고 있는 채권을
뺀 순외채 규모는 200억달러선).

외채 1,000억달러라면 국민 1인당 2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다 작년말부터 시작된 경기하강 또한 심상치 않다.

엎친데 덮친격이 되어 버렸다.

이런 경제위기 상황을 맞아 급기야 정부에서는 "경쟁력 10%높이기"
실천방안까지 내놓았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대책도 이를 실천해야 할 주체들이 제대로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정부와 기업들이 앞장서서 솔선수범하고 근로자들도 적극 동참을 하는
등 경제주체의 합심과 노력이 수반되어야만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일부 고소득자들의 과시적 소비 행태는 고쳐지질 않고
서민들도 이에 덩달아 낭비를 줄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들의
모습이다.

가계소비문화가 건전하지 않고서는 국가경제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것이다.

가정경제가 기울면 국가경제 역시 추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소비증가율이 소득증가율을 훨씬 앞질러 소득 1만달러에 소비는
2만달러수준이 된다는 지적은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 할 점이라고 본다.

외제자동차 고급의류 등 사치성 소비재수입 급증과 무분별한 해외여행
등으로 인한 막대한 외화낭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불요불급한 소비를
억제하는 자세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때이다.

국가경제의 한축으로서 "경쟁력 10% 높이기" 동참차원에서라도 씀씀이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데 우리 모두가 힘써야 한다.

민희정 <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