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날아다니는 응급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느 종합병원이나 응급실을 운영해서 24시간 체제로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교통사고등 각종 사고나 재난 또는 급환의 발생으로 환자 상명이 시각을
다투게될 때 응급실은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대도시의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이 응급실에 도착할 때 까지의
교통수단이다.
우리 승용차 보유대수는 많은 편이므로 승용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지만 그 밖에도 택시나 앰뷸런스 긴급구호차등을 부르게 된다.
그러나 심야가 아닐경우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된다.
높은 자동차 보유대수의 부작용으로 교통체증이 날로 심화되고 있어
아무리 위급한 경우라 할지라도 속히 응급실에 도착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때 생각 나는게 하늘을 나르는 헬리콥터이다.
헬기라면 아무리 지상의 교통체증이 심할지라도 빨리 병원에 도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현재의 우리경제수준으로 헬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상에 가까운
일로 생각됐고 특히 항상 경영이 어렵다는 종합병원에 헬기 설치를
요구한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라고 체념했었다.
그런데 이 체념이 현실로 실현하게 됐다.
서울의 어느 종합병원이 환자를 응급치료하면서 긴급 후송할 수 잇는
응급의료 전용 헬기를 국내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 헬기는 미국 벨 (BELL)사가 제작한 최신 기종으로 기본적
응급의료장비는 물론 심장 및 심전도감시장치 정맥주사공급장치
의료산소장치 등 첨단 의료장비가 탑재돼 있어 현장에서 응급수술을 즉시
시행할수 있다 한다.
또 이 헬기는 의사와 간호사 특수구조대원등이 탑승하고 환자 2명을
동시에 응급치료하면서 후송할 수 있다.
가령 서울에서 180km 거리인 대전권이라면 앰뷸런스로는 교통이
원활할 때 2시간 가까이 걸리나 헬기로는 20~30분이면 병원까지 환자를
후송할수 있다.
다만 문제는 헬리콥터라고 항상 수직으로만 이착륙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기체의 무게나 기온.기압 관계로 짧은 거리를 활주하면서 이륙할 때도
있고 일단 이륙한 후 전진하면서 고도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헬리포트가 필요하게 된다.
"날아다니는 응급실"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우리 생활주변에
다수의 헬리포트가 필요하게된다.
또 서민으로선 헬기사용에 따른 비용부담의 걱정이있다.
그러나 우리사회에 응급의료 전용헬기시대가 열렸다는 사실은 낭보가
이날수 없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9일자).
대비하고 있다.
교통사고등 각종 사고나 재난 또는 급환의 발생으로 환자 상명이 시각을
다투게될 때 응급실은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대도시의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이 응급실에 도착할 때 까지의
교통수단이다.
우리 승용차 보유대수는 많은 편이므로 승용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지만 그 밖에도 택시나 앰뷸런스 긴급구호차등을 부르게 된다.
그러나 심야가 아닐경우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된다.
높은 자동차 보유대수의 부작용으로 교통체증이 날로 심화되고 있어
아무리 위급한 경우라 할지라도 속히 응급실에 도착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때 생각 나는게 하늘을 나르는 헬리콥터이다.
헬기라면 아무리 지상의 교통체증이 심할지라도 빨리 병원에 도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현재의 우리경제수준으로 헬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상에 가까운
일로 생각됐고 특히 항상 경영이 어렵다는 종합병원에 헬기 설치를
요구한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라고 체념했었다.
그런데 이 체념이 현실로 실현하게 됐다.
서울의 어느 종합병원이 환자를 응급치료하면서 긴급 후송할 수 잇는
응급의료 전용 헬기를 국내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 헬기는 미국 벨 (BELL)사가 제작한 최신 기종으로 기본적
응급의료장비는 물론 심장 및 심전도감시장치 정맥주사공급장치
의료산소장치 등 첨단 의료장비가 탑재돼 있어 현장에서 응급수술을 즉시
시행할수 있다 한다.
또 이 헬기는 의사와 간호사 특수구조대원등이 탑승하고 환자 2명을
동시에 응급치료하면서 후송할 수 있다.
가령 서울에서 180km 거리인 대전권이라면 앰뷸런스로는 교통이
원활할 때 2시간 가까이 걸리나 헬기로는 20~30분이면 병원까지 환자를
후송할수 있다.
다만 문제는 헬리콥터라고 항상 수직으로만 이착륙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기체의 무게나 기온.기압 관계로 짧은 거리를 활주하면서 이륙할 때도
있고 일단 이륙한 후 전진하면서 고도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헬리포트가 필요하게 된다.
"날아다니는 응급실"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우리 생활주변에
다수의 헬리포트가 필요하게된다.
또 서민으로선 헬기사용에 따른 비용부담의 걱정이있다.
그러나 우리사회에 응급의료 전용헬기시대가 열렸다는 사실은 낭보가
이날수 없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