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를 뜻하는 글로벌라이제이션과 현지화를 의미하는
로컬라이제이션의 합성어.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국경없는 경영을 하면서도 지역별로는 특유의
시장요구에 맞게 토착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는 의미로 생겨난 신조어다.

전세계 시장을 정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각양각색인 소비자 입맛이나
생산여건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점에서 세계화와 현지화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관계다.

미국 나이키는 이미 20년전부터 이같은 전략을 구사한 글로컬라이제이션화
기업의 대표적인 예다.

본사에서는 기본적인 연구개발과 제품 디자인만을 담당하고 실제 신발과
각종 스포츠의류 생산은 각국의 현지 공장에서 전담하는 형태의 지역분업을
실시하고 있다.

예컨데 스키복생산은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이뤄져 한국에서만 판매되고
호주에서는 크리켓용 신발이 독립적인 과정을 거쳐 생산, 호주 국내에
한해 판매된다.

이런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을 통해 나이키는 원가절감에 성공했다.

한국기업들도 해외진출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지적응능력이 떨어져
세계화와 현지화간 균형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