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인삼공사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외국산 담배의 시장점유율이 점차 높아지고 오는 7월부터 홍삼전매제가
폐지돼 수입기반의 대폭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청와대로부터 "수술대상
제1호" 공기업으로 지목받게 됐기 때문이다.

김영삼대통령은 17일 공기업 경영혁신을 지시하면서 공기업중 유독 담배
인삼공사의 이름만을 거론, 적극적인 민영화가 어려우면 출자기관으로라도
전환할 것을 지시했다.

한국담배인삼공사는 그동안 공기업 민영화 논의가 있을때마다 단골 메뉴로
오르기는 했으나 정부가 1백% 출자하고 있는데다 전통적인 담배 전매제로
인해 공기업중에서는 가장 민영화가 어려울 것으로 지적돼 왔다.

그러나 이번에 대통령이 직접 거명을 해가며 개편을 지시한 이상 정부지분
의 대량 매각이 불가피하게 됐다.

현행 민영화 계획상으로는 오는 98년까지 민영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같은
일정이 앞당겨질 공산이 커진 셈이다.

더욱이 한국개발연구원이 이달까지 담배공사의 민영화계획을 제출토록
되어 있어 민영화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출자기관이 되기위해서는 현재 1백%인 정부지분을 50%이하로 끌어내려야
한다.

지분매각 방법으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공모, 기관투자가의 인수,
공개경쟁입찰에 부치는 방법등을 생각할수 있다.

이에따라 재계는 벌써부터 담배인삼 공사 인수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L그룹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한국비료 처럼 공개경쟁입찰에 부칠 경우 특정 그룹의 인수도 생각해 볼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담배공사는 전국에 1백64개 지점을 거느리고 있어 인수할 경우
전국 규모의 유통망을 "덤"으로 그냥 챙길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담배공사가 민영화될 경우 공사의 담배 독점 제조권도 더이상 유지
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담배제조업도 경쟁체제가 될 가능성도 크다.

담배인삼공사는 지난 48년 재무부 전매국으로 출발, 52년 전매청, 87년
한국전매공사, 89년 한국담배인삼공사로 자리 바꿈했다.

담배공사는 3조3천억원의 매출액에 약 2천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고
있으며 8천3백여명의 인원을 거느리고 있다.

매출액 순위만 보면 18개 정부투자기관중 한전 전기통신공사 산업은행에
이어 네번째로 큰 기업이다.

<김선태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