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들도 물고 물리는 싸움을 한다.

인체에 해가 거의 없거나 비교적 해가 적은 A란 미생물이 배출하는
분비물이나 독소가 B란 병원균을 살멸할수 있다.

항생물질(Antibiotics)은 희랍어로 Anti(항)와 biosis(생)의 합성어로
즉 생물체인 모든 병원체에 길항해 죽인다는 의미로 쓰인다.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한 미국의 토양생물학자 "셀만 왁스만"은 1941년
생물학초록집을 내면서 매년 수가 증가하는 항박테리아제를 색인하기 위한
단어로써 "항생물질"이란 용어를 제안했던 것.

항생물질은 생물체 자체가 생산했거나 또는 생물체에서 추출한 기본체에
기(라디칼)를 변화시켜 유도한 물질로서 소량으로 다른 생물체의 발육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항생제의 이름은 항생물질을 만드는 세균및 곰팡이의 학명을 따
정해진다.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세팔로스포린 등이 그 예다.

우리가 흔히 "마이신"을 항생제와 동의어로 통용하는 하는 것은 -myces로
끝나는 항생물질 생산미생물의 학명의 속명이 많기 때문이다.

< 정종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