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자문기구인 노사관계개혁위원회는 9일 앞으로의 활동방향과
관련, 우선 신노사관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후 노사관계개혁
과제를 도출키로 했다.

또 올해중 노동관계법과 제도가 마련되면 내년부터는 각계각층이 참여한
가운데 신노사문화정착을 위한 범국민의식개혁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노개위는 이날 오전 정부제1청사 9층회의실에서 현승종 위원장주재로
첫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향후 활동방향과 운영계획 등을 의결했다.

노개위는 또 매분기별로 1회이상의 정기회의와 월1회이상의 임시회의를
개최하고 하부조직으로 노사관계의식및 관행, 민간노사관계제도, 공공부문
노사관계및 노동행정 등 개혁과제별로 3개분과위를 설치, 위원회에서
논의될 안건들에 대한 사전심의와 공청회등을 통한 여론수렴업무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노개위 운영에 필요한 제반업무를 지원하기위해 25명의 인원으로
사무국을 설치하고 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 등 10인 이내로 별도의
운영위를 구성키로 했다.

현위원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노사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노사
당사자는 물론 국민들간에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수행할
개혁작업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러나 이 작업이 거창한
구호가 아닌 국민의 피부에 와닿는 생활개혁으로 자리잡을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노개위의 활동을 지원하고 개혁방안의 종합적인 추진을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노사관계개혁추진위원회"를 구성, 운영할
방침이다.

< 윤기설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