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 냉전체제에서의 국제관계는 군사력과 이데올로기를 앞세운 미국과
소련을 양축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후 제3세계의 등장으로 양극구조는 다극구조로 바뀌었고 이데올로기
보다는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새로운 국제관계가 나타났다.

지난 1월29일 우리나라가 유엔에 비준서를 기탁한 유엔해양법협약도
제3세계 국가들이 재원내셔널리즘에서 남북의 경제차를 축소하는 수단으로
2백해리 경제수역제도를 활용할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단결된 힘으로
통과시킨 사례중의 하나이다.

국제관계가 정치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 질서라는
하나의 체제로 통합하는 과정에 있는 현시점에서 힘의 논리는 더욱 경제력에
좌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클린턴 행정부가 개혁정책의 목표를 재정적자 감축과 경제회복에 두고 있는
것만 보아도 알수 있는 일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력은 어떠한가.

10년전만하더라도 우리 선원들에게 3백달러는 높은 임금수준이어서 해외
선원송출은 상당한 인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1천달러 이상으로도 선원구하기
가 힘든 실정이다.

대신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3백달러 임금수준은 여전히 큰 인기가
있어 외국선원을 송입하여 우리 원양어선에 승선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의 경제력이 신장되었다는 단적인 예에 불과하지만 경제력의
뒷받침이 없는 국가는 국민들도 그만한 대우 밖에 받지 못한다는 것을
대변해 주고 있다.

국민소득 1만달러시대에 진입했지만 그것보다는 교역 규모면에서 세계
제11위의 국가, 머지않아 10위권 안에 진입할수 있다는 가능성에 가슴이
뿌듯해진다.

다가오는 21세기를 "동북아시대"라고 진단하는 미래학자들이 많다.

과연, 동북아시대의 주역은 어느 국가가 될까?

한국 일본 중국 어느국가도 그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오늘날 국제사회는 정치의 경제화, 경제의 정치화로 상호 연관성이 증대
되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두려워 하는 국가는 국제
경쟁에서 뒤처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냉엄한 국제관계 현실하에서 상호협력관계를 다각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터득한 국가만이 동북아시대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감히 예측해 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