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들어 새로운 자동차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보험가입자의 불만이 높아만
가고 있다.

평균 "9.7%"인상을 골자로한 재정경제원의 발표를 믿고 있었던 기존
가입자들이 정작 계약을 갱신해보니 경우에 따라선 20%가까이 인상됐다는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무사고 3년째(엘란트라)인 A모씨(37)는 이달말 계약갱신을 앞두고 자동차
보험료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험사에 문의한 결과 깜짝 놀랐다.

그가 지난해 8월에 낸 보험료(책임보험료 포함)는 46만1,190원이었으나
올해에는 같은 조건아래서 53만8,310원을 내야만 한다는게 보험사의 설명
이었다.

무려 16.7% 인상된 셈이다.

이번에 새로 선보인 무보험차 상해담보에 따른 추가보험료 3만원을 빼도
10%나 오른 것이다.

최초가입자에 대한 보험료는 크게 올렸으나 기존 가입자의 경우 평균
6.1% 인상됐다는 당국의 설명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것이었다.

비단 A씨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10대나 20대초반의 자녀가 가끔 운전을
하는 장년층이상 가입자의 경우 보험료 인상이 20%대에 달하는 이가 적지
않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물론 보험료가 내리거나 별로 오르지 않은 가입자도 많으나 이들은 목소리
를 낮추고 있어 모든 가입자가 당초 발표보다 훨씬 많이 올랐다는 지적이
반드시 맞는 말은 아니라는게 보험업계의 주장이다.

또 보험사가 각 계약별로 가입경력에 대해서 과거 실적을 토대로 상하
10%범위내에서 할인 할증을 자율적으로 매길수 있도록 한 2단계 가격자유화
조치에 따라 가입자별 보험료가 당초 생각보다 많이 다른 케이스도 없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달부터 시행된 가입자 경력에 따라 적용되는 범위요율(상하 10%)이
각사마다 다소 다른 양상을 띠고있다.

같은 조건의 계약자라해도 보험사마다 내야할 보험료가 각기 달라진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내년 4월부터 시행예정인 자동차 기본보험료에 대한 범위
요율제가 도입돼 보험료가 완전자유화시대에 접어들면 가입자마다 달리
매겨지는 보험료 차이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보험사들도 이번 자동차보험제도 개편을 계기로 예전과는 전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보험료가 크게 오른 탓이긴 하지만 그동안 사고위험이 높다는 이유로
계약인수를 꺼려온 최초가입자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견지할 것 같다.

최초 가입자들이 보험에 들기가 그만큼 수월해 진다는 얘기다.

삼성 현대 한국자동차보험 LG화재 동양화재등 대형사는 물론 국제 쌍용등
중하위사들도 자동차보험 영업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11개 손해보험사들이 자보관련 서비스경쟁을 통해 우량가입자 유치
에 열을 올리려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피치 못할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는 이웃을 위한 자동차보험제도가
제대로 뿌리를 내리기 위해선 정부나 보험사 못지않게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노력이 무엇보다 긴요하다는 점이다.

가입자들은 과거 정부가 보험료를 통제하는 일률적인 체제에 익숙해진
관습을 탈피, 스스로 알아서 믿을수 있는 보험사를 선택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는데서 더욱 그렇다.

이렇게 볼 때 이번 제도 개편에 따라 보험사가 제시하는 "보험료 절약요령"
은 향후 펼쳐질 보험료 완전자유화시대를 앞두고 현명한 가입자로서의 자격
을 조언하는 것에 다름아니다.

자가용승용차의 경우 배기량에 따라 보험료가 차등화되기 때문에 보다
실용적인 차량을 구입하고 자기부담금을 많이 설정해 보험료부담을 줄이고
사고예방에 힘쓰는 계기로 삼는등 각자 나름대로 노력을 해야 한다는게
보험사가 권유하는 "알뜰 지혜"이다.

특히 이번부터 보험사에 따라 가입경력이 최고 20%까지 차이가 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지금까지 거래해온 보험사이외에 2~3개사로부터 자신의
보험료를 알아보고 가입보험사를 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자동차보험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보험료를 계산하는
방식은 어떠한지등을 정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다.

비단 보험료뿐만 아니라 보험사의 경영상태나 서비스제도등을 종합 판단
하는 것이 현명하다.

보험료가 싸다는 이유로만 보험사를 택했다가 정작 사고를 당했을 경우
보상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큰 낭패를 보기 십상이기 때문
이다.

무사고운전자들도 마찬가지이다.

자동차보험의 생명인 사고시 신속한 사고처리 능력을 평가하고 평소
생활에 보탬을 주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자동차보험 가입자라면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상식을 숙지해 놓는 것도
경우에 따라선 편리할 때가 많다.

각보험사들이 적자경영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자금을 투입, 24시간
사고접수및 처리를 해주는 심야보상서비스체제를 구축하는가 하면 우량고객
에 대한 우대대출금리 적용,차량무료점검등 다양한 서비스를 앞다퉈 개발
하고 시행하는 것도 가입자들이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 보험이용패턴을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당국도 이번 조치와 내년 4월 3단계 자유화조치가 안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가격자유화가 경쟁을 통한 보험사의 효율과 혁신을 유도하고 시장개방에
따른 국제경쟁에 대비하고 궁극적으로 가입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가입자들이 보험에 들기 전에 각 회사가 자신에게 적용할 요율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창수숭실대교수(보험통계학)은 "가입자가 실질적인 선택권을 갖지
못하는 가격자유화는 제도시행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수 없다"며
자동차보험료율을 포함한 각종 보험정보 공시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제 가입자나 보험사 모두 자동차보험에 대한 인식을 180도 전환해야
한다.

보험사는 가입자들이 더이상 자동차보험의 적자가 방만한 경영탓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서비스체제를 강화하는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가입자들도 "내가 아닌 남"을 위해 들어야 하는 자동차보험의 공공적인
성격을 이해하고 적정한 부담을 안으면서 보험서비스를 요구하는 보다
성숙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당국과 보험업계 가입자의 노력이 함께 맞물려 돌아가야만 이번
7.19 자동차보험제도 개편의 취지를 살리면서 생활필수품의 자리를 차지하는
자동차보험이 제기능을 다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