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엔고와 미국의 대일자동차 보복관세라는 이중고속에서 일본의 자동차
업계는 과연 살아남을수 있을까.

미국의 대일보복관세 부과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협상부진으로
관세집행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같은 질문이 떠오르고 있다.

이에대한 전문가들의 대답은 단연 "예스".

이번 위기가 오히려 일자동차업계의 체질을 단련시켜 "수퍼기업"으로
재탄생할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중론이다.

미.일 무역전쟁이 어떤식으로 전개되던간에 자동차업계싸움에서는 일본측의
완승으로 끝나리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현재 일자동차 업계는 사상 최악의 사태를 맞고 있다.

엔화강세에 미국의 보복관세위협까지 겹쳐 수출난이 가중되고 있는데다
내수시장마저 둔화되고 있다.

일본의 올자동차생산 예상대수는 1천1백만대.

전문가들은 이같은 생산량은 수출감소와 내수시장 둔화를 감안하면 적정
수준을 4백만대나 웃도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자동차시장은 멀지 않아 약육강식의 재편을 겪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은 이처럼 고전하고 있는 일자동차업계를 벼랑끝으로 몰아넣음으로써
자동차분쟁에서 일본측의 양보를 얻어낼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고급차에 1백%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이들 제품의 미국내 판매는 중단
되다시피할 것이어서 이를 피하기 위해서도 일본은 두손을 들고 국내
자동차및 부품시장의 문을 열수 밖에 없으리란 계산이었다.

일본은 그러나 강경 태도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이는 일자동차 업계가 미국의 대일제재라는 시련을 견딜수 있는 것으로
일본정부가 확신하는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미국의 의도와는 달리 제재조치가 오히려 비대해진 일자동차 산업을
효율적으로 재편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이다.

미국이 보복관세를 부과하는등 시련이 계속되도 도요타와 미쓰비시 스즈키
이스즈등 4사는 "생존가능"한 회사로 꼽힌다.

이들은 원가절감, 시장다변화등을 통해 흑자가도를 달리고 있어 일본 시장
이 재편되도 끄덕없다는 분석이다.

반면 후지중공업과 혼다는 고전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후지의 경우 엔고를 이기지 못하고 닛산과 합병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치고 있다.

미국 시장 의존도가 큰 혼다도 최악의 위기를 맞게될 것이다.

특히 닛산 마쓰다 다이하츠 히노등 매출 하락세에 시달리고 있는 4사는
엔고와 대미수출시장장애를 이겨내지 못하고 합병되거나 시장에서 밀려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일부 하위권업체들이 경쟁력을 잃고 문을 닫거나 다른 기업에 합병되는
것은 통산성이 내심 원하던바였다.

과열경쟁 양상을 보이는 자동차업계를 정리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이
통산성의 오랜 희망사항이었으며 미국의 제재와는 상관없이 이같은 현상은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상장 영세 부품업체들은 물론 규모가 제법 큰 회사들도 완성차메이커의
해외부품 조달확대로 문을 닫거나 경쟁력 있는 업체에 합병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알루미늄 부품업체인 도쓰카와 덴류세이사쿠는 지난해 6월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졌다.

혼다의 자회사인 쇼와도 비상장업체인 세이키기켄과 합병했으며 닛산의
부품공급업체 우니시아젝스도 니폰덴시기키와 통합됐다.

도쿄대학의 후지모토교수는 앞으로 일자동차 산업의 판도와 관련, "일본
자동차업체들은 서로가 경쟁자인 동시에 파트너인 관계로 얽히게될 것"
이라며 자동차업체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의존적인 관계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는 협력하는 안정적인 관계를 맺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자동차메이커가 업계재편이란 회오리를 헤쳐나와 경쟁력을 더한층 강화
한다면 미자동차및 부품업체들이 일본시장을 뚫기란 더욱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미국내 사정을 봐도 빅3가 대일제재로 이득을 볼것이 별로 없다.

보복관세부과로 렉서스나 인피니티등 일본 고급차의 값이 치솟는다
하더라도 소비자들은 미국차보다는 벤츠나 BMW 볼보 사브등 유럽차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일 보복관세 조치가 미국 기대처럼 일본시장의 빗장을 푸는 특효약으로
작용하리라고 전망하는 전문가는 드물다.

더욱이 일본이 선뜻 시장개방을 약속해줄 가능성도 희박하다.

미국의 위협정도는 충분히 버텨낼수 있을만큼 일본자동차업계는 이미
강력해져 있다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지적이다.

< 노혜령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