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광고의 측면에선 입후보하는 정치인도 상품과 별다를게 없다.

76년 미국 포드대통령측 광고캠페인 책임자는 "대통령을 파는 것과
비누를 판매하는 것과의 차이는 무엇인가"라고 묻고 "그 기본원리는
본질적으로 같다"고 말했다.

그래서 정치광고에 등장하는 말들은 후보자를 돋보이게 하는 칭찬뿐이다.

미국 TV의 정치광고는 20~30초의 스파트광고가 많기 때문에 정치 슬로건에
새 생명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시기는 바로 지금이다" "변화를 위해 공화당에 한표를"등이 그 예라고
할수 있다.

그러나 정치광고와 상품광고 사이엔 두드러진 차이가 하나 있다.

상품광고는 "윤리강령"에 따라 최소한의 진실성과 정확성이 있어야 하지만
정치광고는 그렇지가 않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 사례로 카터의 "정부의 재조직화"란 정치광고가 자주 등장된다.

이 광고에 카터는 "본인이 주지사에 선출되었을 때는 정치인이 아니었다"
고 말했는데 사실은 카터가 두번이나 조지아주 상원의원에 선출됐었다.

또 "주정부내의 300개 기관중 278개를 없앴다"고 자랑했지만 그 많은
기관들은 전혀 운용되지 않고 있었다.

카터는 "주정부 경비의 50%이상을 절감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는 49%나
증가했었다.

6.27지반선거에서도 정치광고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민자당은 신문광고를 포함해 모두 48회에 19억8,000만원(홍보비 30억원의
66%)의 정치광고를, 그리고 민주당은 20회에 홍보비 11억원의 59%인
6억5,000만원을 정치광고로 쓸 계획이라 한다.

민자당은 이미 "싫여요! 선거때만 대접받는 여성이라면"이르는 여성
유권자를 노린 정책광고를 냈고 "손발이 맞아야지 지역발전도 가능합니다"
등 야당을 공격하는 광고가 중심이 되고 있다.

반면에 민주당은 "우리 다시 시작해요"란 광고로 당내갈등에 대해 사과
하는 방어광고를 냈고 그 뒤론 여당 광고에 대응하는 이미지 공격광고를
하고 있다.

후보등록이 마감되었으므로 정치광고의 주체는 정당에서 시.도지사
후보로 바뀌었이만 여.야 모두 이미지광고를 내게 될것으로 보인다.

후보들의 인지도를 높혀주고 유권자 접촉의 기회를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정치광고의 역할은 크다.

그러나 후보의 정책 역략 자질등에 대한 정보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공격
이나 비방등 부정적 요소가 많아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유권자는 정치광고의 일방적 논리에 현혹되지 말고 객관적인 자세로
선거에 임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 같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