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업계가 성수대교 사건의 후유증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있다.

업계는 성수대교붕괴이후 정부에서 벌이고있는 과적차량 단속으로 물류비용
증가는 물론 레미콘업체들이 도로나 교량파괴의 주범으로 잘못 인식돼 크게
피해를 보고있다고 주장하고있다.

경찰청은 이달들어 교량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과적차량 단속을 실시하고있
다.

고속도로등 일부구간에서 16t이상 화물차의 운행이 금지되고있으며 서울시
내의 경우 동작 반포 동호대교등을 제외한 한강다리의 사용도 제한되고있다.

정부측의 단속활동은 레미콘업체들에 금전적 손실로 돌아오고있다.

골재 모래등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레미콘의 생산원가가 오르고있다.

골재업체들은 도로및 교량 통제로 상당한 거리를 돌아 서울로 진입하고있어
운송부담이 늘고있다면서 가격을 인상하고있다.

11월 하반기들어 골재의 비수기에도 불구, 당 9천원에서 1만원선으로 10%
이상 올렸다.

레미콘업체들은 원가부담과함께 제품수송시 물류비용 증가로 2차적 피해도
입고있다.

레미콘챠량은 공차무게 11t에다 최고적재량인 6 를 실어도 27t밖에 안돼 서
울시내의 1급교량은 물론 2급교량(최고허용치 30t)에도 안전하다고 레미콘협
회는 설명하고있다.

그러나 과적차량 단속으로 교통경찰은 우선적으로 레미콘 차량을 특별 단속
레미콘트럭을 자주 붙잡아 운송시간을 지체시키고 벌칙금을 부과하고있다.

레미콘차량에 대한 단속의 후유증은 이미 곳곳에 나타나고있다.

운전기사들은 아예 단속을 피해 먼길을 우회하는가하면 다리를 건너 강남
북을 넘어다니는것을 회피,일부 지역에서는 레미콘이 적기에 공급되지못해
공사에 차질을 빚고있다.

레미콘업체 사주들은 더욱 심각한 피해를 입고있다.

운전기사들이 적재량을 20%이상 줄여 운행하겠다고 주장,원가상승 요인이
되고있으며 운송횟수 단축에따른 기사들의 운임 인상요구로 경영난이 가중되
고있다.

업계는 정부측의 전시적인 과잉단속으로 업계만 피해를 보고있다고 주장하
고있다.

업체들의 규모에따라 코스트상승규모는 차이가 나지만 진성레미콘같은 대기
업은 올해만도 10억원이상 원가부담이 늘것으로 전해졌다.

전국에는 4백여개사의 크고 작은 레미콘업체가 있으나 이중 서울,수도권지
역의 업체는 65개사로 이들 업체가 성수사건이후 이같은 홍역을 앓고있다.

레미콘협회와 연합회는 최근 잇따라 경찰청에 규정에도 없는 레미콘 차량
의과잉단속으로 업계가 위축돼 피해를 보고있다면서 시정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업계는 90년이후 계속되는 공급과잉에따른 경영압박으로 올들어서만도 20
여개 업체가 부도를 낸 상황에서 과잉단속이 피해를 증폭시킬 것으로 우려하
고있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1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