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제안] 사고때 기술자 일방책임 안될말 .. 박성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수대교 붕괴에 대한 도의적인 책임으로 시공사 대표가 1,500억원을
들여 자회사에서 다시 시공하겠다고 발표를 했다.
본인은 근간에 "구포철도 함몰사고" "남해 창선교 붕괴사고" 그리고 부산의
"서동아파트 사고"등 일련의 사고원인을 조사한 사람으로서 비통한 심정을
억제할수 없다.
우리의 위정자들은 기술자들을 정치선전등 정치목적에만 이용했지 이들의
정당한 의견이나 요구를 한번도 제대로 반영한 적이 없었다.
가령 기술자들이 교량 하나를 가설하는데 100억원이 소요된다고 하면 그
예산은 70억원 정도로 칼질을 하고 "위치는 여기로 해라, 저기로 해라"하는
식으로 간섭한다든지, 공사기간이 2년쯤 소요될 것이라고 하면 1년으로
단축하라는 식으로 다그쳐 오지 않았는가?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등이 짐을 실어나르는 교통수단이라면 교량도 적재
적량이 있게 마련인데 이를 지키지 않고 몇배의 하중이 부하됐다면 붕괴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치에 맞지 않을 것이다.
영국의 런던교나 미국의 금문교라도 우리와 같은 통행량.관리상태하에
있었다면 이미 수명이 다 되어 사라지고 말았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수대교 시공사의 책임자는 명분에 맞지않게 1,500억원을
재건설이나 교량관리비로 서울시에 희사해서는 안된다.
오늘날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이 있게끔 초기에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들이
국내외의 온갖 악조건하에서도 횃불을 밝히며 묵묵히 일해온 100만 건설
기술자라는 것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 공은 한번도 가시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심지어 공과대학에서도 첨단분야중 첨단이면서 국가발전에 큰 영향을 주는
건설분야를 첨단학과가 아니라고 업신여기는 풍조가 있는가 하면 교육부나
과학기술처는 물론 건설부 등에서도 아무런 관심도 보이지 않고 푸대접해온
것이 현실이다.
성수대교의 붕괴뿐만 아니고 그간의 모든 건설관계 큰 사고들이 일방적으로
기술자들의 책임으로만 돌려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 위정자는 물론 국민들의 의식전환이 있어야 할것이며 우리나라
"건설환경"을 직시해서 개선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것이다.
박성재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
(한국경제신문 1994년 11월 1일자).
들여 자회사에서 다시 시공하겠다고 발표를 했다.
본인은 근간에 "구포철도 함몰사고" "남해 창선교 붕괴사고" 그리고 부산의
"서동아파트 사고"등 일련의 사고원인을 조사한 사람으로서 비통한 심정을
억제할수 없다.
우리의 위정자들은 기술자들을 정치선전등 정치목적에만 이용했지 이들의
정당한 의견이나 요구를 한번도 제대로 반영한 적이 없었다.
가령 기술자들이 교량 하나를 가설하는데 100억원이 소요된다고 하면 그
예산은 70억원 정도로 칼질을 하고 "위치는 여기로 해라, 저기로 해라"하는
식으로 간섭한다든지, 공사기간이 2년쯤 소요될 것이라고 하면 1년으로
단축하라는 식으로 다그쳐 오지 않았는가?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등이 짐을 실어나르는 교통수단이라면 교량도 적재
적량이 있게 마련인데 이를 지키지 않고 몇배의 하중이 부하됐다면 붕괴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치에 맞지 않을 것이다.
영국의 런던교나 미국의 금문교라도 우리와 같은 통행량.관리상태하에
있었다면 이미 수명이 다 되어 사라지고 말았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수대교 시공사의 책임자는 명분에 맞지않게 1,500억원을
재건설이나 교량관리비로 서울시에 희사해서는 안된다.
오늘날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이 있게끔 초기에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들이
국내외의 온갖 악조건하에서도 횃불을 밝히며 묵묵히 일해온 100만 건설
기술자라는 것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 공은 한번도 가시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심지어 공과대학에서도 첨단분야중 첨단이면서 국가발전에 큰 영향을 주는
건설분야를 첨단학과가 아니라고 업신여기는 풍조가 있는가 하면 교육부나
과학기술처는 물론 건설부 등에서도 아무런 관심도 보이지 않고 푸대접해온
것이 현실이다.
성수대교의 붕괴뿐만 아니고 그간의 모든 건설관계 큰 사고들이 일방적으로
기술자들의 책임으로만 돌려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 위정자는 물론 국민들의 의식전환이 있어야 할것이며 우리나라
"건설환경"을 직시해서 개선을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것이다.
박성재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 >
(한국경제신문 1994년 1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