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국이 24일로 수교 2주년을 맞는다.

한국전당시 서로를 향해 총을 겨누었고 그 후 40년이 넘게 적대관계를
계속해 왔지만 양국은 수교이후 선진의 관례로 탈바꿈했고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급속히 교류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지난해에만 한.중 양국은 무려 8차례의 외무장관회담을 가졌다.

물론 북한핵문제에 따른 입장조율이 가장 큰 목적이기는 했지만 양국관계가
얼마나 가까워졌는가를 짐작케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양국이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수교관계로 들어선 것은 동구공산주의의
몰락과 이에따른 세계질서 재편과 무관치 않다.

중국은 중국대로 개방경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한국시장이라는 전략적
목표가 필요했고 한국은 한국대로 경제적 이유와 함께 북한에 대한 우회
전략차원에서 중국의 역할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같은 서로의 요구에 따라 양국간의 경제협력은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냈고 경제의 상호의존도도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에만 양국의 인적교류가 15만여명에 이르고 있는 것이 성숙해진
양국 경제관계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북한핵문제등 정치분야에서 중국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우리와
접근하고 있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50년 가까이 북한과 혈맹관계를 맺어온 중국은 핵문제와 관련, "대화"만을
강하게 주장하면서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해 실질적인 북한의 후견인임을
표나지 않게 내세우고 있다.

결국 중국의 이같은 전략구사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렵게 만들어 평양의 입지를 강화해 주기도 했다.

두 차례에 걸친 한국대통령의 방중에도 불구, 중국 최고위층인사의 방한이
성사되지 못하는 것도 결국은 북한을 의식한 북경의 태도때문이라는 것이
정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중국은 그러나 김일성사망후 북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임이 분명하고 이에따라 우리는 상당한 비중을 갖고 접근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인내를 갖고 북한의 개방이라는 목표를 위해 중국과
꾸준한 정치적 접근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치 경제분야 못지않게 사회 문화 체육분야에서의 양국간 교류도 점차 그
폭이 확대되고 있어 기대를 더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한.중 문화협정이 체결, 각종 전시회의 교환이나 문화계
인사들의 상호방문이 줄을 잇고 있고 최근에는 양국의 정치 경제분야와
학계의 지도급 인사들로 구성된 "한.중미래포럼"이 발족, 북경에서 첫 회의
를 개최하는등 양국관계의 미래에 관한 탐구도 본격화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스포츠분야에서의 교류는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중관계가 특히 경제분야를 중심으로 각 부문에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양국이 극복해야 할 과제는 아직도 많다.

우선 한반도의 분단상황이 지속되는한 중국이 취할 것이 분명한 등거리
외교전략이다.

한반도의 상황변수에 따라 양국관계가 불편해 질수 있는 요소가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다.

전문가들은 미.일과의 공조를 중심으로 정부의 철저한 대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경제분야도 마찬가지다.

국제사회의 논리상 당연한 이치이지만 양국이 언제든 이익상충의 과정에서
마찰을 빚는 경우가 잦아질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밖에 외교에 있어 냉전체제 붕괴이후 동북아지역에서 미국의 역할변화에
따른 중국의 패권주의화 가능성도 우리로서는 그냥 지나칠수 없는 부담
이라는 것이 공통된 지적이다.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향후 한.중관계와 관련, "조만간 다가올 통일에
대비, 21세기를 함께 맞이할 동반자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양승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