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기에 붙이는 품질보증마크가 제각각이어서 소비자들이 상품선택에 큰
혼란을 겪고 있다.

27일 관련업계와 소비자단체에 따르면 최근 생수국내시판이 허용되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높아져 정수기 판매도 늘고 있다.

그러나 정수기에 대한 품질보증마크는 현재 한국수도연구소의 C마크,
한국화학검사소의 Q마크, 한국공업규격협회의 KS, 정수기공업협동조합의
검사필증제등 4가지나 되고 그 기준도 각기 달라 혼선을 빚고 있다.

더욱이 보사부는 지난 3월 생수시판을 허용하면서 정수기 제작업체들에게
검사필증제를 따라 주도록 권고했으나 법적 강제조항이 아닌 중소기업협동
조합법에 의한 자율조항이어서 업계의 참여가 저조하다.

35개 정수기 제작사들의 단체인 정수기공업협동조합은 회원사및
비회원사들에게 검사필증제 신청을 독려하고 있으나 2백여개사중 현재
웅진코웨이등 10여개사만 신청했다.

이 조합 장점석전무는 "정수기 검사필증제를 전면실시하는 게 바람직하는
근거법규가 강제조항이 아닌 임의조항이어서 업체들이 돈이 든다는 이유로
신청을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정수기 업체들도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준에 맞는 민간연구소의
품질보증마크만을 제각각 부착, 정수기를 시판하고 있어 시중엔 정수기마크
가 범람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간 1천억원대로 추정되는 정수기 시장을 선점하기 정수기제작회사들은
자신들이 붙인 품질보증마크가 믿을 만한 것이라고 홍보하는 바람에
소비자들은 정수기 선택에 헷갈리고 있다.

지금까지 음용수관리업무를 맡아온 보사부는 물관리일원화에 따라 생수및
정수기 관리업무가 5월부터 환경처로 넘어간다는 이유로 이같은 정수기
품질보증마크 혼재 현상에 대해 수수방관하고 있다.

이러는 사이 현재 2백여 정수기 업체가 난립해 1백50여종의 정수기를
팔면서 품질저하및 A/S부실 문제로 소비자와의 마찰이 잦다.

이중 일부 업체는 수돗물에 자연포함된 광물질을 오염물이라고 속여
값비싼 정수기를 파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

정수기 업체들은 "정수기 품질보증마크제가 통일되지 않은 마당에 서로
유리한 마크를 쓰려고 하는 건 당여하지 않느냐"는 반응이다.

이에대해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상품검사실 송영순간사는 "일부 고가
정수기는 몸에 필요한 미네랄과 일반 세균까지 정수하는 역기능이 있는
등 정수기 품질자체에도 문제가 많다"며 "정부가 정수기 품질보증마크를
하루빨리 통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구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