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항만청이 최근 법정관리회사인 흥아해운에 내준 일본 서안항로 개설
인가에 대해 특혜의혹 시비가 일고 있다.
6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해운항만청이 지난달 17일 인가해준 흥아해운의
부산~일본서안항로 운항에 대해 기존업체인 부산상선(대표 김성일)이 크게
반발하며 진정서를 제출하는등 중소업체들이 특혜의혹을 제기하고 나서
물의를 빚고 있다.
부산상선측은 지난 4일 해운항만청에 접수시킨 진정서에서 "국익차원의
행정지도를 펴야할 정부기관이 오히려 국내업체간의 과당경쟁을
조장,영세업체의 도산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흥아해운에 대한 사업인가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부산상선측은 특히 "신규사업 인가시 해항청이 이해관련 당사자들을 불러
사전협의를 갖는 것이 관례임에도 불구,이번 경우는 관련업체들도 모르는
사이에 전격적으로 이루어진 점으로 미루어 특혜 소지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상선을 비롯한 중소해운업체들은 "정부가 개방을 빌미로 항로의
규모및 채산성을 고려하지 않은채 마구잡이식 사업인가를 허용한다면
앞으로 영세업체들은 설자리를 잃게 될것"이라며 해항청의 이번 처사를
비난하고 있다.
이에대해 해항청 관계자는 "오는 7월이면 한일항로는 어차피 개방된다"며
"사전협의를 안한 것은 부산-일본서안항로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잘
안다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에대해 "부산~일본서안항로는 워낙 영세해 개방되더라도
외국업체들이 운항을 포기할 정도"라며 "흥아에 대한 사업인가는
부산상선이 이제 겨우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이 항로를 흥아에 넘겨주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부산상선 김성일사장은 "흥아가 참여할 경우 이 항로에 목을 매고 있는
우리로서는 회사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며 "이미 현지 대리점및 화주들이
흥아로 거래선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부산~일본서안항로는 지난88년 국내업체들이 물량부족에 따른 채산성
문제로 운항을 포기한 상태에서 부산상선이 처음으로 뛰어들어 개척한
항로이다.
부산상선은 현재 니가타 마이주루 쓰루가 토야마등 일본서안 6개항에
소규모 컨테이너선을 주1항차씩 운항하며 지난해에는 1백7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항로의 영세성으로 인해 아직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