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에서는 요즘에도 "만물박사"라고 지칭되는 사람들이 있다.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지는 못했지만 워낙 학문이 넓고 식견이 높아서
박학다식한 사람을 그렇게 부른다. 예전에 유명한 선비나 학자의 인물평을
하면 "박람강기"라고 표현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때 "박학"이라는 말은
학식이 깊다는 뜻보다 넓다는 뉴앙스가 강하다고 할수있다.

원래 우리나라 역사에서 박사란 지금처럼 어떤 부문의 학술을 전문적
으로 연구하여 그 심오한 진리를 발표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칭호가
아니라 벼슬의 이름이었다. 고구려 백제때 학문이나 전문기술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주던 벼슬로 고구려의 태학박사, 백제의 오경박사.이박사.의박사.
력박사 등이 있었고 신라에는 국학, 누각전, 의학, 율령전에 박사라는
벼슬을 두었으며 고려때는 국학 성균관 사천대 태의감 조선때는 성균관
홍문관 규장각 승무원에 두었던 벼슬로 교수의 임무를 맡았었다.

지금 우리사회에서 박사라고 하면 그의 전공부문에 대해서는 학술적인
권위를 인정받을 뿐아니라 그의 전문학술에 관한 연구와업적에 대해서
사회적인 존경과 신뢰를 받게된다. 일본의 명문고등학교서는 청운의 뜻을
"뒷날에는 박사인가 대신인가"고 노래로 간략하게 표현했었다.

우리사회의 "가짜박사"소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제3공때만
해도 정치인을 비롯한 일부 저명인사중에 가짜박사가 있어 소동이
났었고 심지어 대만의 "철사"라는 칭호를 박사라고 사용하여 빈축을
산 일마저 있었다.
또 작년 국회교육위에서는 일부대학의 가짜박사교수의 채용사례가
문제된적도 있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희집고대총장)가 이달말에 세계24개국
1,878개대학의 박사학위과정에 관련된 자료를 집대성한 "세계박사학위
자료집"을 낼것이라 한다. 가짜박사에 대한 감별책자가 나오는 셈이다.
이책자가 발간되면 앞으로 학위의 진위와 그 신뢰도 등이 밝혀질
것이므로 무자격교수 시비는 일단락 될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를 보면 박사학위를 소지하고있지 않으면서도 제자와 국민들의
존경을 받는 실력있는 교수들도 많이 있다. 무자격교수의 기준을
반드시 박사학위로 구별하는것이 온당한 일일까.

아무리 가짜가 횡행하는 사회라고 하지만 가짜라도 박사라면 명사가
되는 우리사회풍토가 한심스럽고 본인의 양심이 어떤 상태인지 궁금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