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가 최근 설립한 (주)수공종합감리공단의 부장급이상 간부진
인선문제로 난항을 겪고있다.
이에따라 내년초부터 본격적인 책임종합감리업무에 들어가려했던
당초계획이 사실상 어렵게됐다.
수공은 인선이 안될경우 모회사인 수공직원들을 파견근무토록할 방침을
세우고있어 파행적인 운영이 예상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건설시장개방 대응과 부실공사 방지를위해 자본금
30억원(수권자본금 50억원)규모의 (주)수공종합감리공단을 지난4일
설립등기를 끝내고 23일에는 서울 송파구 오금동 대한토목학회 회관에서
현판식까지 마쳤다.
그러나 전체직원 75명중 수공에서 옮겨가야할 23명의 관리자급
핵심요원들인 차장급(수공의 과장) 과장급(수공의 대리)은 지원자가
모집정원보다 많은 반면 본부장급(수공의 처장) 부장급(수공의 부장)의
지원자는 전혀없는 실정이다.
본부장급의 경우 행정직 1명은 80%정도 내락은 받은 상태이지만
자리이동은 확실치않고 기술직 2명과 부장급(행정직 1명,기술직 4명) 5명에
대한 희망자가 없어 건축및 토목기술사 5명을 포함한 10명의 특급감리원을
확보하지 못하고있다.
이처럼 수공직원들이 수자원보수(주) 설립때와는 달리 자회사로의 이동을
원하지않는 것은 책임감리업무를 위해 설립된 이회사의 장래가
불확실한데다 위험부담이 크며 기술직의 경우는 모회사에서의 승진기회가
많은데 굳이 신생회사로 옮겨갈 필요가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관련,수공 관계자는 "연말까지 수공종합감리공단으로 옮겨가겠다는
희망자가 없을 경우 수자원보수(주)에서 모집을 하고 이경우에도
인선작업이 해결되지 않으면 파행적이지만 수공직원을 파견근무시키는
수밖에 없다"며 "수공종합감리공단 설립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