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발전의 원천과 유교사상과의 관련여부에 서구학자들이 관심을
가진 것은 80년대중반이후의 일.

한국에선 오래전에 망각된 논어같은 고전에서 그들이 찾고있는 것은
무엇인가.

아시아경제통인 독일의 저널리스트 한스 빌헤름 바르벨트는 "공자에
패배한 마르크스"란 글에서 이렇게 결론짓는다. "마르크스주의의 본질이
계급투쟁(충돌 분쟁 분열)이라면 유교의 본질은 화,즉 합의 타협 "우리들"
이다"

오늘날 세계와 우리주변에서 부심하고 있는 움직임을 "논어의 세계관"에서
조명해 본다면 어떤해상이 나올까. 그리고 거기서 얻을 온고지신의 교훈은
무엇일까.

많은 사례가 있지만 지면관계상 두개만 들어보자.

소연방 해체후 부시미대통령이 미국이 유일 초대국이라고 선언한 것은
아직도 기억에 새롭다.

새로운 세계질서 유지자로서의 미국,세계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역
으로서의 미국의 존재를 부인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두들 그렇게
되고,또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해답의 키워드는 지금 한창 문제가 되고 있는
소말리아사태에 대한 미정책의 난맥에서 나온다. 여기서 나오고 있는
키워드의 파생어는 미국이 안고있는 무력감 자폐증 분열증후군. 바로
클린턴행정부에 내재해 있는 이 일관성없는 대외정책은 여론을 의식하고
인기관리를 위한 소극주의와 관계가 있다. 미국여론이 이사태로 일거에
분열되는 현상도 빚어졌다.

이러한 곤혹은 소말리아에 국한되는게 아니다. 구유고 아이티에서도
마찬가지이며 북핵문제에 있어서도 북한의 간교에 끌려다니고 있다.
기우일지 모르지만 만약 한반도에서 다국적군의 형성을 필요로할때 이같은
미정책의 표류가 있다면 어떻게 될까,걱정되는 일이다.

미국의 대외정책은 딜레마에 빠져있다. 표면적원인은 미군의 파병기준이
달라진데 있다. "소련의 위협"이란 냉전시절의 기준은 소멸되고 국민
컨센서스 형성기준은 다원화돼 있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미경제력의 쇠퇴에 있다. 경제적 쇠퇴에 대한
설명은 경제적 요인분석을 빼놓을수 없지만 아메리카 사회의 해체가
경제쇠퇴에 상승적인 요인이 됐음은 말할것도 없다. 총기의 범람,고율의
범죄증가,마약 에이즈의 만연등. 이런것들이 사회적붕괴의 제인자들이다.
이들 인자의 출발원점은 가정의 붕괴에서 시작한다.

선진국 최고의 이혼율을 자랑하는 사회가 바로 미국이다. 이대로라면
80년대 이후 태어난 어린이의 절반은 성인이 되기전 결손가정에서 성장하게
된다.

인류학자 마거리트 미드여사는 가정이 몰락할때 국가도 붕괴한다고
말했다.

유교의 도덕률은 가족을 핵으로 한다. 인간관계의 중심은 "제가"에서
시작한다. 말하자면 가족을 중심으로한 동심원의 세계다. 가정과 사회는
대하와 지류와의 관계와 같다. 지류의 수량이 풍부하면 대하도 풍요해
진다. 지류가 오염되면 대하도 오염된다. 결국 "치국"이 되지 않으면 PKO
파병에 의한 "평천하"도 불가능해 진다.

"논어의 세계관"은 계속된다. 사정에서 실명제로 이어진 "개혁"에 맞춰
보자.

논어에서 말하는 "인"은 정치윤리의 규범이며 경세철학. 인의 기본은
2가지로 집약된다. "민에게 의식을 충족시킬 것과 그후에 예절을 가르칠
것". 예절이란 교육이며 의식개혁이며 총체적 문화혁명이다. 시쳇말로 하면
"선경제 후개혁".

경제성장이 왜 개혁에 우선해야 하는가 하는것은 성장의 위축이 가져올
고통이 너무나 크다는 이유에서 자명해진다.

자연히 여기서 생각해야할 것이 경제와 개혁의 조화이다. 경제를
생각하는 정책의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당초 6%이상이었던 올
성장목표가 "내부의 적"을 청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실명제 실시후엔 4.
7%로 수정되기에 이르렀다.

성장률 1%는 어떤 수치인가. 우리의 GNP규모를 3,000억달러로 치면
30억달러가 된다. 2%라면 5조원규모. 소실될 이들 수치는 개혁을 위해
치른 "수업료"이다. 링컨대통령이 설정하고 실천에 옮겼던 것처럼 개혁의
목표는 국민에 희망을 주고 건설적인 것이라야 한다. 미래의 건물을
세우기 위해선 개혁의 블록 하나 하나가 미래적인 것이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