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손목시계 메이커중 일부 기업의 사장들이 친인척 간이어서 눈길을
끌고있다. 산도스시계 카미노시계 김석근시계의 3개사와 솔로몬시계
로만손시계 2개사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은 경영에서 일가의 공통된
모습을 보이거나 협력을 모색하면서도 남못지않은 경쟁속에 기업을
키워가고 있다. 이처럼 시계가가 생길수 있었던데는 시계산업이 조립산업
이어서 큰 기술이 필요없고 소자본으로도 분가가 가능하다는 배경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카미노시계 김춘근사장(50)과 김석근시계의 김석근사장(40)은
형제간이고 산도스시계 안효식사장(48)은 김춘근사장의 매제이자
김석근사장의 자형이다.

시계업의 뿌리는 선대로 올라간다.

춘근, 석근씨의 부친인 김순재씨(84)가 20년대부터 만주와 싱가포르 등지를
돌며 시계상을 한것이 그 시작이었다. 이들 세사람은 순재씨의 셋째동생인
순학씨(74)가 경영하던 경신상사라는 벽시계제조업체가 77년 산도스시계로
상호를 바꾸고 손목시계로 품목을 전환하면서 한사람씩 시계업계에
뛰어들게 된다.

먼저 78년 3남인 석근씨가 타고난 사업수완이 숙부의 눈에 띄어 일을
시작했다. 그는 거래선을 만날때 "식사한끼라도 얻어먹지 말고
대접하라"든지 "앉아서 부르지 말고 직접 찾아가라"하는 선대의 경영철학을
20대때부터 몸에 익혔다.

장남인 춘근씨가 다른 사업을 하다 합류한 것은 81년.

이들 형제는 산도스시계가 82년 부도를 낸후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서로다른 경영철학을 굳히게 됐다. 춘근씨는 경영권이 안정된
개인기업형태를 선호한 반면 석근씨는 직원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나눠맡기는 실질적인 주식회사를 원했던 것.

안효식씨가 83년 산도스시계에 들어와 경영권 승계에 강한 의욕을
보이면서 두사람은 독립의 기회를 찾게된다. 춘근씨는 89년 카미노시계로
독립했고 석근씨는 그에 앞서 85년에 김석근시계를 세웠다. 이들은
카미노와 니바다라는 브랜드로 차별성을 내세우며 서로 충돌을 피하려
애썼다. 카미노가 산도스에 비해 저가품쪽을 공략한 것도 이들이 나란히
성장하는데 한몫을 했다.

세 회사의 공통점은 판매망으로 소매상을 비롯 영세업자들을 적극
활용한다는 것이다. 관리가 번거롭고 몸으로 뛰어다녀야 하는 어려움은
있지만 발굴할 수있는 판로가 무궁무진하고 거래선에 큰 마진을 안겨준다는
매력이 있어 세사람이 산도스시계에 함께 있을 때부터 구사한
영업전략이었다.

이들이 겨냥하는 협력목표는 공동생산라인을 구축하는 것이다. 91년 이미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3백여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구체적인 계획마련에
들어갔다. 이는 시계업계에 탄탄히 포진하고 있는 세 회사가
생산라인통합을 통해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전문디자이너를 육성하며
자재공동구매로 우수한 부품업체를 지원한다는 구상에서 출발한 것이다.

<>.솔로몬시계의 최영철사장과 로만손시계의 김기문사장도 처남매부지간.
김사장(39)은 손위처남인 최사장(48)이 83년 솔로몬시계를 설립할때부터
6년간 함께 일하다 88년 독립했다. 김사장의 창업은 경영에 대한 이견에서
비롯됐다기보다 자기사업을 가져보라는 최사장의 권유가 크게 작용한
편이다.

최사장은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신중한 경영스타일이지만 김사장은
배짱으로 돌진하는 스타일이라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판매전략에도
차이가있어 솔로몬은 오랫동안 다져온 국내시장에 기반을 두고있고
로만손은 미개척지인 해외로 눈을 돌려 수출에 주력하고있다. 회사체제도
솔로몬은 수익성이 높은 방계회사를 여럿 갖고 있지만 로만손은 시계회사
하나뿐이다.

두 회사는 유통중간 단계의 대리점들을 많이 활용한다는 데서 공통적이다.
대리점 유지비용 부담은 있지만 관리가 쉽고 판매지역을 빨리 확대할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솔로몬에서 무역업무를 맡고있으며 최사장의 또다른 매제인
최시은부장까지 얼마간의 경력을 쌓은뒤 독립할 경우 이들 세사람도
시계업계가 주목할만한 공동의 움직임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오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