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당선자는 산업정책에서 과학기술투자의 확대를 통한
첨단과학기술의 산업화를 최우선과제로 잡고 이를위한 교육개혁과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검토중인것으로 29일 알려졌다.

김당선자는 이와관련,과기처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청와대
과학기술특별보좌관제를 신설,강력한 과학기술드라이브정책을 쓸것으로
알려졌다.

김당선자의 한 경제브레인은 이날 "김당선자는 우리경제의 사활이
과학기술개발에 달렸다고 인식하고있다"며 "차기정부가 "작은정부"를
지향하면서도 이부문에 관한한 정부역할을 대폭 강화할 것임을 천명했다"고
밝혔다.

김당선자의 경제팀은 이와관련,우리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핵심기술개발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지원하기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당선자는 또 기계 전자등 첨단기술관련
인력의 공급확대를 뒷받침하기위해 교육개혁도 병행할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삼차기정부는 기술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위해 산.학.연.관의
협동체제를 구축,2백56메가D램이상의 초고집적반도체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고선명TV(HDTV) 차세대자동차 차세대원자로등 첨단기술과 생산현장기술을
집중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차기정부는 이를위해 과학기술투자를 오는 98년까지 GNP의 5%선으로
높이되 이에 필요한 재원의 4분의1은 정부예산으로 충당하고 나머지는
민간기업이 투자하도록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세제.금융상의 혜택을 늘릴
계획이다.

차기정부는 또 중소기업을 우리경제의 뿌리로 만든다는 구상아래 해마다
6천개이상의 중소기업을 늘려나가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지원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김당선자의 경제팀은 또 미국 일본 러시아등 기술선진국들과의
공동연구사업을 대폭 늘리는 국제기술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의
우수과학기술인을 적극 유치하는 방안등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