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여록> 공천 탈락자 대기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선거정국속에 정부일각에서는 때아닌 인사바람이 한창이다.
그동안 비워두었던 무공이나 관광공사 통신공사등 정부투자기관들의
이사장자리가 속속 새인물로 메워지고있다.
문제는 그 비워있던 자리의 새주인공들이 대부분 최근 여당의 공천에서
탈락한 정치인들로 메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투자기관의 비워두었던 자리가 어떤 형태로든 여당의 선거관리용으로
활용되리라는것은 사실 "알만한 사람들"은 익히 짐작했던 일이다.
관례와는 달리 빈자리를 제때 채우지 않은점이라든지 대과없이 잘해온
사람을 성급히 물러나게한것등은 곧 공천탈락자 무마를위한 자리확보라는
인상을 일찍부터 풍겨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마했던 우려를 사실로 접하게되니 다시한번 실망감만
느낄뿐이다.
물론 이같은 실망은 새의자에 앉게된 인물의 됨됨이가 훌륭하지못해서가
아니다.
임명권자인 정부가 무엇을 기준으로 그들을 새자리에 앉혔느냐 하는
의문때문이다. 평생을 정치만해온 노정객이 수출입업무를 지원하는 공사의
이사장직을 맡아 무슨 일을 할수있겠는가.
따지고보면 정부투자기관의 이사장이란 직제 자체가 문제랄수있다.
애초부터 논란이 없지않았지만 지금까지도 이사장직이란 퇴임한 정부관료나
장성들의 "휴식처"이상의 자리는 아니었다. 그런 이사장직이 급기야
정치인들의 임시대기소로까지 전락하고만 셈이다.
흔히 현정부의 최대실책을 "인사정책"이라고 꼽는 사람들이 많다.
특정지역에 편중된 인물발탁은 말할것도 없고 너무 잦은 장관 경질도
이같은 비판의 요인이 되고있다. 쓸만한 사람을 발탁해서는 잠시 이용한뒤
너무 쉽게 버린다는 지적은 정부안에서도 널리 퍼져있다.
아직도 많은 정부투자기관의 자리가 후임발령을 미룬채 남아있다고한다.
이들 자리는 총선후 낙선한 거물급 인사들에게 돌아갈 몫이라는 분석이다.
더구나 민자당 각 계파간에는 현재 이들 자리를 놓고 자리다툼까지
벌이고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정부투자기관의 크고작은 자리를 끝내 당리당략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에서
마치 "마지막 무리수"를 보는것같아 안타깝다.
그동안 비워두었던 무공이나 관광공사 통신공사등 정부투자기관들의
이사장자리가 속속 새인물로 메워지고있다.
문제는 그 비워있던 자리의 새주인공들이 대부분 최근 여당의 공천에서
탈락한 정치인들로 메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투자기관의 비워두었던 자리가 어떤 형태로든 여당의 선거관리용으로
활용되리라는것은 사실 "알만한 사람들"은 익히 짐작했던 일이다.
관례와는 달리 빈자리를 제때 채우지 않은점이라든지 대과없이 잘해온
사람을 성급히 물러나게한것등은 곧 공천탈락자 무마를위한 자리확보라는
인상을 일찍부터 풍겨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마했던 우려를 사실로 접하게되니 다시한번 실망감만
느낄뿐이다.
물론 이같은 실망은 새의자에 앉게된 인물의 됨됨이가 훌륭하지못해서가
아니다.
임명권자인 정부가 무엇을 기준으로 그들을 새자리에 앉혔느냐 하는
의문때문이다. 평생을 정치만해온 노정객이 수출입업무를 지원하는 공사의
이사장직을 맡아 무슨 일을 할수있겠는가.
따지고보면 정부투자기관의 이사장이란 직제 자체가 문제랄수있다.
애초부터 논란이 없지않았지만 지금까지도 이사장직이란 퇴임한 정부관료나
장성들의 "휴식처"이상의 자리는 아니었다. 그런 이사장직이 급기야
정치인들의 임시대기소로까지 전락하고만 셈이다.
흔히 현정부의 최대실책을 "인사정책"이라고 꼽는 사람들이 많다.
특정지역에 편중된 인물발탁은 말할것도 없고 너무 잦은 장관 경질도
이같은 비판의 요인이 되고있다. 쓸만한 사람을 발탁해서는 잠시 이용한뒤
너무 쉽게 버린다는 지적은 정부안에서도 널리 퍼져있다.
아직도 많은 정부투자기관의 자리가 후임발령을 미룬채 남아있다고한다.
이들 자리는 총선후 낙선한 거물급 인사들에게 돌아갈 몫이라는 분석이다.
더구나 민자당 각 계파간에는 현재 이들 자리를 놓고 자리다툼까지
벌이고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정부투자기관의 크고작은 자리를 끝내 당리당략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에서
마치 "마지막 무리수"를 보는것같아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