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폐기물을 집중처분저장할 부지선정이 "내
임기중에는 곤란하다"는 님트(NIMT:Not In My Term)란 새로운 복병을 만나
금년내 마무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1일 과기처및 원자력계에 따르면 부지선정과 관련,해당지역주민은 물론
일선지방자치단체의 이해가 절대 필요하다. 현재 많은 도나 군관계자들이
부지선정을 내년총선이후로 미뤄줄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지고있다.
이에따라 과기처는 이달중 경기 강화군등 전국 47개 임해지역군및 관련
7개도를 방문,방사성폐기물처리장부지확보계획을 설명키로 했다가
군지역방문을 보류하고 월말까지 7개도방문을 실시키로했다.
과기처는 최근 부지사회의등에서 2차례에 걸쳐 군등 지방행정기관방문의
도를 설명했으나 "총선후 부지선정이 바람직하다"는 의견과 함께
"도방문부터 하라"는 요구에 따라 당초계획을 바꾼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계획지연에 대해 원자력관계자들은 일종의 님트의식이
작용하고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우리마을에는 안된다"는
님비(NIMBY:Not In My Back Yard)해소를 위한 일반국민이해사업못지않게
행정기관등에 내재하는 "님트"인식의 해소에도 적극성을 보여야
할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과기처는 처리장 부지물색을 위해 한국동력자원연구소에 지질조사를
의뢰해 37개후보지역을 선정했으며 서울대에 의뢰,지방별 주민의식조사및
이를 토대로 공개토론대회도 가졌다.
또 한국원자력연구소등과 해수욕장 국립공원 역전및 터미널등
인구밀집지역에서 여러차례 캠페인을 벌였다.
이같은 준비작업에 이어 과기처는 10월중 임해지역 47개군 방문 11월중
자원지역신청접수및 공청회개최 12월중 부지확정을 계획하고 있으나
47개군 방문은 일단 보류했다.
한편 자원지역신청은 2건이 있으나 신청자가 대토지소유자로 토지처분또는
활용을 목적으로 인근주민이나 지방관련 기관등과 사전협의없이 신청한
것으로 전해지고있다.